푸바오, 단체생활 적응 중…“냄새·소리로 교류”

배재성 2024. 5. 16. 16: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 웨이보 캡처

검역 절차가 끝난 ‘푸바오’가 규칙적인 생활을 하며 단체 생활에 적응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판다보호연구센터는 16일 공식 웨이보(微博·중국판 엑스)에 올린 1분짜리 영상에 붙인 설명을 통해 “푸바오는 아침저녁으로 밥을 먹고 있고, 낮에는 낮잠을 자고 있다”며 “이 기간 푸바오는 냄새와 소리를 통해 이웃 판다들과 소통하고 점점 단체 생활에 적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센터는 “푸바오는 매일 오전 활동량이 비교적 많은 편"이라며 "대나무를 아주 잘 먹는다”고 전했다.

이어 “점심시간이 지나면 ‘점심 휴식’을 취하고 저녁이 되면 또다시 밥을 먹는다”며 “전체적인 생활은 비교적 규칙적인 편”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5일 공개된 영상에는 푸바오가 워룽중화자이언트판다원(臥龍中華大熊猫苑) 선수핑기지(神樹坪基地)의 격리·검역 구역의 철창에 반쯤 기대어 누운 채 옥수수빵을 맛있게 먹는 장면이 담겼다. 푸바오는 가슴 위에 떨어진 빵 부스러기는 혀를 내밀어 핥아먹기도 했다.

센터 측은 “푸바오가 먹이를 낭비하지 않고 아껴 먹는다"며 "가장 좋아하는 먹이는 옥수수빵과 채소, 과일”이라고 설명했다.

영상 마지막 부분에는 먹이를 먹은 뒤 소화시키기 위해 풀밭을 어슬렁거리며 놀고 있는 푸바오 모습도 확인됐다.

영상에 나온 푸바오의 이마에는 움푹 팬 반점이 보이기도 했다. 센터 측은 이 반점을 ‘미인점’이라고 소개하면서 다음 편 영상에서 어떻게 생기게 됐는지를 설명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판다센터가푸바오를 주인공으로 한 영상을 공개한 것은 지난달 1일 ‘푸바오의 격리·검역 일기 4’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린 이후 2주 만이다.

당시 센터 측은 “푸바오의 격리 검역 생활이 곧 만료된다"며 "푸바오가 곧 대중들과 만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센터 측은 지난달 10일 ‘푸바오의 격리 검역 일기 1’이라는 영상을 시작으로 일주일 단위로 2·3편 영상을 공개한 바 있다.

푸바오는 격리가 종료된 이후에도 워룽선수핑기지에서 당분간 생활한 뒤 선수핑기지와허타오핑기지(核桃坪基地), 두장옌기지(都江堰基地), 야안기지(雅安基地) 중 한 곳에 정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푸바오는 2016년 3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중 친선 도모의 상징으로 보내온 판다 러바오와 아이바오 사이에서 2020년 7월 20일 태어났다.

그간 용인 에버랜드에서 생활하면서 ‘용인 푸씨’나 ‘푸공주’ 등의 애칭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은 푸바오는 태어난 지 1354일 만인 지난달 3일 중국으로 돌아갔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