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광고형 요금제 ‘순항’…가입자 4000만명 돌파

김진영 2024. 5. 16. 15: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온라인동영상플랫폼(OTT)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가 우려와는 달리 순항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이날 넷플릭스는 자사 광고형 요금제(ad-supported tier)의 글로벌 월간활성사용자(MAU) 수가 40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CNBC는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 성공 비결로 경쟁사 대비 저렴한 구독료와 적극적인 콘텐츠 투자 등을 꼽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년 대비 8배·올 초 대비 2배 증가
"저렴한 구독료·콘텐츠 적극 투자 등 성공 요인"
WWE·NFL 중계권 따내며 광고 시장 확대

글로벌 온라인동영상플랫폼(OTT)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가 우려와는 달리 순항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사 대비 저렴한 구독료와 적극적인 콘텐츠 투자가 훈풍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이날 넷플릭스는 자사 광고형 요금제(ad-supported tier)의 글로벌 월간활성사용자(MAU) 수가 40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1년 전(500만명)보다 8배 늘어난 수치로 올해 1월 공개된 MAU(2300만명)의 약 2배에 달한다.

[이미지출처=AFP연합뉴스]

넷플릭스는 이날 광고형 요금제를 새로운 수익원으로 삼기 위한 전략도 발표했다. 회사는 그동안 광고형 요금제 구현을 위해 이뤄졌던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기술 협력을 종료하고 자체 광고 플랫폼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또 2025년 글로벌 출시를 목표로 구글디스플레이앤비디오360 등의 업체와 함께 연말부터 캐나다에서 광고 플랫폼 기술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CNBC는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 성공 비결로 경쟁사 대비 저렴한 구독료와 적극적인 콘텐츠 투자 등을 꼽았다. 미국 기준 넷플릭스 광고형 요금제 가격은 6.99달러로, 경쟁 OTT인 ‘맥스’(9.99달러), ‘디즈니+’(7.99달러)보다 저렴하다. 현재까지 전 세계 넷플릭스 구독자 수는 총 2억7000만명이며, 광고형 요금제가 개설된 국가의 경우 구독자의 40%가 해당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광고 시장 확대를 위해 스포츠 중계 사업에도 발을 뻗고 있다. 이날 넷플릭스는 미국 최대 인기 스포츠인 미국프로풋볼(NFL) 경기를 올해부터 3년간 크리스마스 시즌에 중계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블룸버그통신은 넷플릭스가 게임당 1억5000만달러(약 1900억원) 이하의 비용을 지불할 것으로 추정했다. 앞서 넷플릭스는 월드레슬링엔터테인먼트(WWE) 프로그램 'RAW' 독점 중계권을 따내기도 했다.

이 같은 넷플릭스의 독주 체제에 맞서 후발주자들은 합종연횡에 나서는 모습이다. 지난 8일 CNBC는 월트디즈니컴퍼니와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가 스트리밍 사업 부문에서 손잡고 번들(묶음) 상품을 출시한다고 보도했다. 번들 상품 가입자들은 디즈니+는 물론 훌루, 맥스의 콘텐츠를 모두 누릴 수 있게 된다. 앞서 디즈니와 워너브러더스, ESPN, 폭스는 올가을 스포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공동 출시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뉴욕증시에서 넷플릭스의 주가는 전장 대비 소폭 떨어진 613.52달러에 마감했다. 올해 들어선 26% 상승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