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多聞 擇其善者而從之(다문 택기선자이종지)

2024. 5. 16. 00: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제자들을 향해 “나는 알지 못하면서 새로운 일을 창작하는 일이 없었다. 많이 듣고서 그중 좋은 것을 골라 따르려고 했으며, 많이 보고서 기억하는 것을 지식을 넓히는 방법으로 삼았다”고 하였다. 공자는 무모한 창작을 경계하고, 남의 말을 진중하게 들으며, 남의 행동을 진지하게 살핌으로써 자신의 지식과 지혜를 넓혀나간 것이다. ‘만세(萬世)의 사표(師表)’ 즉 ‘영원한 스승의 표상’으로 추앙받는 공자도 이처럼 어설피 창작하기보다는 남의 사례를 듣고 보기를 중시했으니 하물며 보통사람에 있어서야!

多:많을 다, 聞:들을 문, 擇:고를 택, 從:따를 종. 많이 듣고서 좋은 것을 선택하여 따르라. 23x65㎝.

요즈음 우리 사회 지도자 중에는 심지어 무식·무능하다는 핀잔을 들으면서도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신의 말만 앞세우는 인물이 적지 않은 것 같다. 얇은 지식으로 새로운 ‘깜짝 쇼’를 벌이려 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은 갖지 않고 자기 말만 앞세우는 일방적 독주로 인해 분열과 갈등이 더 심해지고 있다. 이런 분들에게 당호(堂號, 거처하는 집 이름)를 하나 지어주고 싶다. 귀이헌(貴耳軒: 귀할 귀, 귀 이, 집 헌). 말하는 입보다는 듣는 ‘귀를 귀하게 여기는 집’이라는 뜻이다. ‘귀이헌’에 살면서 ‘귀이헌(귀헌=귀한)’인물로 거듭나기를 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