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쉬지 않고 공연…힘들지만 어려워야 재밌죠

홍지유 2024. 5. 16. 00: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마린스키발레단 김기민 수석무용수(오른쪽)의 리허설 모습. “표현력을 위해 음악과 책을 접하는 시간을 더 늘렸다”고 말했다. [사진 김기민]

‘최연소, 최초, 최고’의 역사를 쓰고 있는 발레 무용수 김기민(32·러시아마린스키발레단 수석무용수)이 ‘발레슈프림 2024’ 공연으로 한국을 찾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재학 중이던 17살에 이례적으로 국립발레단 ‘백조의 호수’ 공연에서 지그프리드 왕자 역을 맡은(2009) 김기민은 클래식 발레의 종가 러시아 마린스키발레단에 입단(2011)해 동양인 최초로 ‘수석’ 타이틀을 거머쥔(2015) 세계 최정상급 무용수다. ‘무용계 오스카’로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 상(2016)을 받았다.

이번 공연(16~19일, 서울 국립극장)에서 김기민은 발레단 동료 레나타샤키로바와 ‘미국 발레의 아버지’ 조지 발란신이 안무한 ‘차이콥스키 파드되(2인무)’를 춘다. 지난 14일 서울 중구 카페에서 김기민을 만났다. 다음은 일문일답.

Q : 차이콥스키 파드되 한국 공연은 처음이다.
A : “정말 좋아하는 작품이다. 2018년 미국 뉴욕 발란신 페스티벌에 초청받았을 때 이 작품을 선보였다. 그래서 자부심이 있다. 그때 한국에서도 올리고 싶다고 생각했다.”

Q : 줄거리가 없는 발란신의 작품은 어떻게 표현하나.
A : “연기가 필요한 발레와 음악성이 필요한 발레가 있다. 차이콥스키 파드되는 후자다. 음악과 하나가 된 것 같은 움직임이 중요하다. 어떤 캐릭터, 어떤 상황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표현의 폭이 굉장히 넓다. 100명의 무용수가 차이콥스키 파드되를 춘다면 100가지 버전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음악에 따라 원하는 대로 표현하면 된다.”

Q : ‘돈키호테 그랑 파드되’도 함께 공연하기로 했다.
A : “나머지 하나는 대중적인 작품을 골랐다. 발레 돈키호테는 한 마디로 쉽고, 발랄하고, 에너지가 넘친다.”

Q : ‘발레슈프림’ 1막은 발레 클래스로 진행된다.
A : “백스테이지도 공연의 연장이고 예술이다. 연습실에서 동료 무용수의 춤을 보면서 감동하는 경우도 많다. ‘이걸 무대 위로 올리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기획했다. 1막이 시작되면 플리에, 탄듀, 제떼 같은 기초 동작부터 시작해 센터 워크까지 클래스와 똑같이 진행한다.”

Q : 마린스키 수석이 된 지 벌써 10년 차다.
A : “실감이 안 난다. 공연을 정말 많이 했고 시간을 꽉 채워 쓴 것 같다. 마린스키 극장은 연간 거의 쉬지 않고 공연을 올리기 때문에 일정이 빡빡하다. 미국과 일본에서도 공연을 자주 올렸다. 해외 원정 공연을 하면서 정신없이 지내다 보니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 모를 때도 있다.”

Q : 20대에 두 번이나 마린스키극장에 단독 공연을 올렸다.
A : “무척 감격스러웠다. 내게 ‘커리어’의 의미는 승급이나 수상이 아니다. 단독 공연을 올릴 수 있다는 게 더 중요하다. 그만큼 팬이 많은 무용수라는 의미니까.”

Q : 슬럼프나 힘들었던 순간은.
A : “2016년 부상으로 1년 쉬었지만, 그 시기가 슬럼프는 아니었다. 오히려 그때 실력을 키울 수 있었다. 가장 힘들었던 건 승급 직후, 상을 받은 직후다. 뭔가를 해냈을 때 항상 더 힘들어졌다. 부담되고 스트레스도 받는다. 다만 어려운 걸 즐기려고 한다. 어려워야 재밌으니까.”(웃음)

Q : 불혹의 김기민은 어떤 모습일까.
A : “지금 20대를 돌아보면서 “행복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처럼, 행복한 30대를 보낸 현역 무용수이길 바란다. 사람들은 젊어지고 싶고 예전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하지만 나는 오히려 빨리 늙고 싶다. 40살이 되면 어떤 표현을 할 수 있을까, 어떤 움직임을 할 수 있을까 궁금하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