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떼루 줘야 합니다"…'빠떼루 아저씨' 김영준 전 경기대 교수 별세

안희수 2024. 5. 15. 17: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일 별세한 '빠떼루 아저씨' 김영준 전 경기대 스포츠과학대학원 교수. 연합뉴스

'빠떼루 아저씨'라는 별명으로 사랑받은 레슬링 경기 해설가 김영준 전 경기대 스포츠과학대학원 교수가 15일 오전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6세다. 

1948년 전북 부안에서 태어난 고인은 전주 영생고, 한양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고교 시절 부친의 뜻을 거스르고 레슬링을 시작했다. 1m60㎝ 단신에 체중 68㎏. 전형적인 레슬링 선수의 체격이었다. 고인은 1970 방콕 아시안게임(AG)에서 동메달을 땄고, 1972년 뮌헨 올림픽과 1974년 테헤란 AG에도 태극마크를 달았다. 

고인은 1976년 선수 은퇴 뒤 대한주택공사에 들어가 1997년까지 호남지사 과장, 연구관리부장, 홍보실장 등으로 일했다. 선수 생활 도중에 한양대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며 주택공사 레슬링팀이 아니라 일반 부서에서 활동했다.

1983년부터 2년 동안은 레슬링 국가대표 자유형 감독을 맡았다. 1984년 LA 올림픽 때 금메달을 확정한 유인탁을 목에 태우고 경기장을 돈 장면으로 스포츠팬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레슬링 해설은 1984년부터 시작해 1986년 AG, 1988년 서울 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4년 히로시마 AG,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까지 역임했다. 

투박한 말투에 흥분하면 자기도 모르게 사투리가 튀어나오는 탓에 스스로는 방송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자책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해설 때는 애국심이 넘친 탓에 상대방 선수를 비난하다가, 1990년 베이징 AG 중계를 맡지 못한 적도 있었다.

고인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을 통해 빠떼루 아저씨라는 별명을 얻었다. "아, 이럴 땐 빠떼루를 줘야 합니다", "아, 머리를 들어야 합니다" 같은 말들이 특유의 말투와 함께 어록으로 남았다. PC통신 시대, 스포츠팬에게 큰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 기간 PC통신에 '빠떼루아저씨 전용게시판'이 개설되기도 했다. 

고인은 이런 인기를 부담스러워하면서도 '레슬링 대중화' 계기로 받아들였다. 1997년에 낸 '빠떼루 없는 세상 만들기'(퇴설당)라는 제목의 회고록에 "한번은 예술의 전당에서 소풍 온 학생들이 사인을 해달라고 해서 '레슬링 해설가 김영준'이라고 써줬더니 한 학생이 '에이, 빠떼루 아저씨라고 써주세요'라고 하더라. 지나가면 '빠떼루 간다'고 하는 이들도 있었다"고 적었다.

고인은 1988∼1991년 대한레슬링협회 이사, 1991년 아시아레슬링선수권대회 선수단장으로도 활약했다. 1997년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특보를 맡아 잠시 정치권에 몸을 담은 적도 있다. 1998년부터 경기대 체육학부에서 겸임교수로 강단에 서기 시작, 2001∼2013년 스포츠과학대학원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한국 레슬링 영웅  심권호는 고인의 별세 소식에 "김 교수님은 내게 많은 가르침을 주셨던 분"이라며 "레슬링인으로서 자부심을 주셨고 해설위원으로서도 많은 것을 알려주셨다"고 회상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