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부터 라면까지’ 유통가, 소비 패턴 변화에 새로운 1위 등장

최승근 2024. 5. 15. 0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통업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시몬스 침대는 지난해 매출 3138억원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업계 1위에 올라섰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한 층 더 중요해진 안전의 경우 시몬스는 국내 침대업계 유일하게 국민 매트리스 3대 안전 키워드(▲라돈·토론 안전제품 인증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 매트리스 ▲국가 공인 친환경 인증)를 실천하며 소비자들에게 신뢰도를 얻는데 성공했다는 평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이스침대·한샘·농심 ‘지고’, 시몬스·현대리바트·삼양 ‘뜨고’
ⓒ데일리안 DB

유통업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새로운 1위가 속속 등장하며 업계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삼고와 가치소비 등으로 소비 패턴 및 트렌드가 급변하는 가운데 고객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한 기업들이 승전보를 울리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업계는 침대다. 시몬스 침대는 지난해 매출 3138억원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업계 1위에 올라섰다.

그간 1위 자리를 지켜왔던 에이스침대는 지난해 매출 3064억원으로 전년 보다 11.5% 감소, 2년 연속 역성장을 기록하며 2위로 내려앉았다.

업계에서는 고품질과 기술력에 브랜딩을 앞세운 시몬스가 이미 브랜드 인지도 측면에서 앞서 왔던 데다 비로소 매출까지 뒤집으며 1위 굳히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세상을 이롭게 하는 시몬스의 적극적인 ESG 행보 역시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한 층 더 중요해진 안전의 경우 시몬스는 국내 침대업계 유일하게 국민 매트리스 3대 안전 키워드(▲라돈·토론 안전제품 인증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 매트리스 ▲국가 공인 친환경 인증)를 실천하며 소비자들에게 신뢰도를 얻는데 성공했다는 평이다.

가구업계에서도 1,2위가 뒤바뀌었다. 한샘이 현대리바트에 1위 자리를 넘겨 준 것.

한샘의 올 1분기 연결 매출은 4895억원으로, 동기간 현대리바트의 5048억원보다 하회하며 정상을 내줬다.

현대리바트 측은 “빌트인 가구 납품이 증가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현대리바트는 올해 1분기에 빌트인 가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4.4%나 증가했다.

식품업계에서도 변화가 잇따르고 있다. 라면의 절대강자 농심의 시가총액이 한때 삼양식품에 뒤쳐진 것. 불닭볶음면을 선보이는 삼양식품은 지난 10일 종가 기준 시총은 2조4520억원을 기록, 신라면·짜파게티를 가진 농심의 시총 2조4483억원을 넘어섰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MZ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해외에서는 품귀현상까지 발생한 것이 매출 성장과 투자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는 치킨업계에서는 2,3위가 자리를 바꿨다. 2년 전 1위 자리를 뺏긴 교촌치킨은 2023년 매출 4259억원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매출 4731억원을 기록한 BBQ에게 자리를 내주며 3위로 밀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제품의 질은 기본이고,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기업의 메시지와 행보가 향후 업계 순위를 좌지우지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무조건적인 신뢰에 기대하기 보다는 친환경, 안전, 가치소비 등 최신 소비 트렌드와 사회적 분위기를 잘 파악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