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발목 잡는 골프…“알짜 자회사 어쩌다”

이주은 2024. 5. 15.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게임즈에 '알짜' 자회사로 꼽히던 골프 사업이 본업의 실적을 갉아먹는 문제아가 됐다.

스크린골프업체 마음골프가 2017년 카카오게임즈에 편입되면서 사명을 카카오VX로 바꿔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전체 매출 중 비게임 부문 30%
경기 침체 여파로 골프 매출 축소 이어져
MMO·비MMO 투트랙으로 본업 경쟁력 강화
골프 등 비게임 부문 경영 효율화 기조 지속
카카오프렌즈에서 출시한 골프티키퍼.ⓒ카카오VX

카카오게임즈에 ‘알짜’ 자회사로 꼽히던 골프 사업이 본업의 실적을 갉아먹는 문제아가 됐다. 업계 불황으로 게임 사업의 수익성마저 흔들리면서 타격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15일 카카오게임즈에 따르면 회사는 올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2463억원, 영업이익 123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 하락했고, 8.1% 상승했다. 전체 매출 중 게임 부문이 1769억원으로 71.8%를, 비게임 부문이 694억원으로 21.8%를 차지했다.

매출 하락의 주된 요인은 비게임 부문 자회사인 카카오VX의 부진한 실적이다. 골프 및 스포츠 레저 통신 사업을 운영 중인데, 장기화되고 있는 스크린골프 업황 둔화의 영향이 컸다는 설명이다.

비게임 부문은 지난해 기준 카카오게임즈 전체 매출의 30%를 차지하는 규모 있는 사업부다. 스크린골프업체 마음골프가 2017년 카카오게임즈에 편입되면서 사명을 카카오VX로 바꿔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2021년 골프 인구가 대폭 늘어나며 스크린 골프 붐이 일자 이 분야에서 가능성을 엿봤다. 이어 같은 해 세나테크놀로지에 952억원을 투자해 경영권을 인수했다. 세나테크놀로지의 기술력을 카카오VX의 스포츠 서비스와 연계해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었다.

실제 카카오VX는' 코로나 특수'를 누리며 2021년 매출 1159억원, 영업이익 78억원에서 2022년 매출 1776억원, 영업이익 163억원으로 몸집을 크게 불렸다.

그러나 코로나19 엔데믹 후 경기 침체와 함께 골프 사업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매출이 급격히 떨어졌다. 지난해 카카오VX는 매출 1463억원, 영업손실 47억원을 기록했다. 설상가상으로 게임 사업마저 업계 둔화로 간신히 매출 하락을 방어하는 형국에 놓이자 비게임 부문의 부진이 더욱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게임 매출이 ▲1분기 1680억원 ▲2분기 1838억원 ▲3분기 1953억원 ▲4분기 1699억원을 기록하는 동안 비게임 매출은 ▲1분기 812억원 ▲2분기 873억원 ▲3분기 694억원 ▲4분기 702억원으로 하향세를 이어갔다.

올해 카카오게임즈는 본업에 더욱 주력해 이같은 매출 하락세를 반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주력 분야인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를 비롯해 서브컬처, 액션 어드벤처, 전략 시뮬레이션 등 비(非)MMORPG로 장르를 확장한다.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지난 8일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안정적인 매출과 성장 기반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기초 역할을 해줄 수 있어 MMORPG에 대한 투자는 유지할 생각”이라며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별화한 게임성을 갖춘 글로벌 PC·콘솔 IP 확보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비게임 부문은 경영 효율화 기조를 이어가면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해 업황 리바운드(반등)를 모색한다. 카카오VX는 지난달 새 스크린 골프 시스템 ‘프렌즈 스크린 퀀텀(Q)’를 6년 만에 선보였다. 제휴 골프장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파트너스 프로그램도 시작했다.

조혁민 카카오게임즈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해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카카오VX는 비상경영을 통해 고정비 절감에 주력하고 있으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해 주력 사업에 집중하고 수익화가 어렵거나 수익을 확대하기 어려운 사업들은 축소하거나 철수하는 의사 결정을 진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