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피해 최소화가 목표…산림청 산사태방지대책 발표

전희진 2024. 5. 14. 13: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앞으로 각 부처에 산재된 산사태 위험사면의 정보가 통합돼 산사태 사각지대가 해소되고, 산사태 예측정보도 세분화되면서 주민들의 대피 골든타임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먼저 행정안전부(급경사지)와 국토교통부(도로사면), 농림축산식품부(농지), 산업통상자원부(발전시설), 문화재청(문화재) 등 각 부처가 관리하는 위험사면 정보를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로 통합해 산사태 예측 사각지대를 줄이기로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토석류를 막은 사방댐. 산림청 제공


앞으로 각 부처에 산재된 산사태 위험사면의 정보가 통합돼 산사태 사각지대가 해소되고, 산사태 예측정보도 세분화되면서 주민들의 대피 골든타임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2024년 산사태 방지대책’을 14일 발표했다.

올해 대책은 범부처 위험사면 통합관리 체계 구축, 산림과학 기반의 주민대피시간 추가 확보, 관측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산사태 예측력 향상, 산사태 취약지역 확대 및 위험요소 사전예방 등에 중점을 두고 수립됐다.

산림청은 먼저 행정안전부(급경사지)와 국토교통부(도로사면), 농림축산식품부(농지), 산업통상자원부(발전시설), 문화재청(문화재) 등 각 부처가 관리하는 위험사면 정보를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로 통합해 산사태 예측 사각지대를 줄이기로 했다.

현재 주의보·경보 등 2단계로 제공되는 산사태 예측정보는 더욱 세분화돼 주의보·예비경보·경보 등 3단계로 확대된다.

일례로 토양이 머금을 수 있는 최대 물의 양 등을 기준으로 토양함수량을 측정해 주의보(토양함수지수 80%)와 예비경보(토양함수지수 90%), 경보(토양함수지수 100%) 등 산사태 예측정보를 지역별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한다.

예측정보가 세분화되면 주민들의 대피 시간을 약 1시간 정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기존에 문자메시지로 제공되던 예측정보도 카카오톡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산사태 예측의 정확도는 산악기상 정보 수집능력을 강화해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현재 산악기상 정보가 평지 기상·풍속은 최대 3배, 강수량은 최대 2배까지 차이가 나는 만큼 산림청은 전국 480곳에 설치된 산악기상관측장비를 올해 말까지 496곳으로 확충키로 했다.

여기에 산림계곡의 형상과 계곡을 흐르는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산림수계수치지도’와 ‘유량관측망’을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구축한다.

산림청은 이밖에 산사태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연 2회 이상 현장점검 및 안전조치를 실시하는 한편 현재 2만9000여곳인 취약지역을 장기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사태 취약지역에 재해 예방시설을 설치할 경우 예외적으로 산지전용을 허용해 위험요소를 사전 차단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위험사면 통합관리와 재난관리자원 공유, 산사태 우려지역 합동점검 등 부처간 협업을 강화해 산사태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태풍·집중호우 등 위험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 없이 대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