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재활용품 종량제 봉투 교환 ‘불티’

박종일 2024. 5. 14. 08: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운영하는 재활용품 종량제 봉투 교환 사업 대상에 5월 16일부터 폐비닐이 추가된다.

투명페트병(20개), 종이팩(1kg), 폐건전지(20개), 캔(20개), 유리병(20개) 폐비닐(1kg)을 모아 매주 목요일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인근 동주민센터 또는 새롬쓰레기연구소에 가지고 오면 종량제 봉투 10ℓ로 교환 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구, 투명페트병, 종이팩 등 종량제 봉투로 교환해줘 주민 참여 높아
5월16일부터 폐비닐도 교환품목에 포함 재활용 품목 6종 교환 대상
2023년 4만5892명(중구민38%) 참여 종량제 봉투 16만3141매 교환
서울시 종량제봉투 스마트관리 공모에 선정, 효율적이고 투명한 관리 기대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운영하는 재활용품 종량제 봉투 교환 사업 대상에 5월 16일부터 폐비닐이 추가된다.

기존 교환 대상 품목이었던 투명페트병과 종이팩, 폐건전지, 캔과 유리병에 폐비닐까지 추가되면 교환 가능 재활용품은 모두 6개로 늘어난다.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의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중구는 '쓰레기 다이어트'를 통해 생활폐기물 배출은 줄이고, 재활용품 수거율은 최대한 높여 자원순환을 확산시키는 정책을 강력히 추진해 왔다. 대표적인 것이 '주민과 함께하는 재활용품 종량제 봉투 교환 사업'이다.

투명페트병(20개), 종이팩(1kg), 폐건전지(20개), 캔(20개), 유리병(20개) 폐비닐(1kg)을 모아 매주 목요일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인근 동주민센터 또는 새롬쓰레기연구소에 가지고 오면 종량제 봉투 10ℓ로 교환 할 수 있다. 종량제 봉투는 주당 1인당 최대 3매까지 지급해 준다. 재활용을 위한 것인 만큼 깨끗이 씻어 라벨을 제거해 투명 봉투에 담아 오면 된다.

2021년부터 시작한 종량제봉투 교환사업에 주민 반응도 뜨겁다. 2021년 4410명이 1만4852매의 종량제봉투를 재활용 쓰레기와 교환, 2022년에는 2만9849명이 10만5111매를, 2023년에는 4만5892명이 16만3141매를 교환하는 등 날로 참여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12만여명의 중구 인구 중 작년 한 해만 38%가 넘는 사람들이 참여한 셈이다.

이런 노력으로 지난해 수도권매립지와 마포자원회수시설에 들어갈 수 있는 중구의 생활폐기물 반입한도량이 5만3860톤이었으나 실지로 반입된 양은 4만8405톤으로 무려 5455톤을 줄이는 성과를 달성했다. 한도량 대비 10%를 더 감량한 셈이다.

이에 따라 중구는 지난 3월 서울시가 실시한 '2023년 기준 생활쓰레기 반입량관리제 평가'에서 최우수구로 선정되어 7억8300만원의 인센티브를 받는 등 4년 연속 생활쓰레기 감량 1위의 기록을 세웠다.

이 밖에도 중구는 서울시 자치구 종량제봉투 스마트관리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시비 2000만원을 지원받는다. 종량제봉투의 입·출고, 재고, 수입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종량제 봉투를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에서는 중구를 포함해 3개 자치구가 선정됐다.

김길성 구청장은 "종량제 봉투 교환 사업 등에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셔서 중구가 반입량 관리제 평가에서 4년 연속 1위라는 쾌거를 이루었다"라면서 "앞으로도 중구가 주민과 함께 쓰레기 감량과 자원순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