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4개 기업만 생산”…고수익 석화제품 EAA를 아시나요

황민혁 2024. 5. 14. 0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에서 4개 기업만이 생산하는 고수익 석유화학 제품이 있다.

포장재를 구성하는 다양한 소재를 접착하는 화학 소재, 에틸렌 아크릴산(EAA) 이야기다.

범용 석유화학 제품 자급률을 높여가고 있는 중국도 '스페셜티' 제품인 EAA 생산역량은 없다.

미국 내 자동차 생산 증가, 유럽의 포장 식품 수요 증가, 아시아의 전자 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포장재 수요 증가 등이 EAA 시장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지오센트릭 관계자가 에틸렌 아크릴산(EAA) 소재를 활용해 종이, 플라스틱 등 이종(異種) 소재를 접착한 시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전 세계에서 4개 기업만이 생산하는 고수익 석유화학 제품이 있다. 포장재를 구성하는 다양한 소재를 접착하는 화학 소재, 에틸렌 아크릴산(EAA) 이야기다. 일례로 우유팩은 외부와의 차단성을 높이는 알루미늄과 그 바깥에 있는 종이·폴리에틸렌(PE) 등 총 7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EAA는 이 층들을 서로 붙이는 기능을 한다.

세계 EAA 시장은 4개 업체가 과점하는 구조다. 한국의 SK지오센트릭, 미국의 다우케미칼과 엑손모빌, 영국의 이네오스가 EAA를 생산하고 있다. EAA의 아크릴산 함량을 높여 접착력을 높이는 작업이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해 진입장벽으로 작용한 결과다. 범용 석유화학 제품 자급률을 높여가고 있는 중국도 ‘스페셜티’ 제품인 EAA 생산역량은 없다. SK지오센트릭이 중국 현지 생산거점을 확보 중인 이유다.

주요국 정부가 재활용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EAA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엠알은 2022년 3억3200만 달러였던 세계 EAA 시장 규모가 2032년 6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산했다. 연평균 6.1%씩 성장한다는 것이다. 미국 내 자동차 생산 증가, 유럽의 포장 식품 수요 증가, 아시아의 전자 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포장재 수요 증가 등이 EAA 시장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14일 “화학 소재 가운데 이렇게 고성장이 예견된 시장은 얼마 없다”고 말했다.

EAA는 친환경성도 갖췄다. EAA를 접착제로 활용하면 함께 사용한 소재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EAA는 물에 잘 녹는 성질이 있어, 이종(異種) 소재가 결합한 제품을 사용 후 물에 풀면 소재별로 분리해 재활용할 수 있다. EAA는 방수 기능이 뛰어나 방수용 플라스틱(PE) 사용량을 줄이는 효과도 낸다.

SK지오센트릭은 중국 기업들의 공격적인 증설을 지켜보며 중국산 범용 화학 제품의 공급과잉을 일찍이 예상했다. 2017년부터 EAA 사업에 진출한 것도 이 때문이다. 기존 포장재 관련 범용 소재 사업과의 연관성도 고려했다.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은 지난달 중국에서 열린 ‘차이나플라스 2024’ 행사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범용 화학 제품에서 올리는 영업이익을, 고부가 제품에서 올릴 수 있도록 (사업 구조를) 바꿔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SK는 EAA의 하위 제품인 아이오노머도 자체 개발해 상업화했다. 해외 EAA 공장 인수 이후, 이에 머물지 않고 자체 연구·개발에 힘을 쏟은 결과다. EAA에 금속이온을 결합한 아이오노머는 골프공, 강화유리 등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내구성을 갖춰야 하는 제품에 주로 쓰인다.

SK지오센트릭은 다우케미칼로부터 2017년 미국, 2019년 스페인 EAA 공장을 넘겨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연간 4만8000t 규모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중국에도 2026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세 번째 EAA 공장을 짓고 있다. 3공장은 연산 4만t 규모로 아시아 지역 최초의 대형 EAA 생산기지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