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 대거 투척’ 인천 유나이티드, 무관중 징계 가능성은?

김태훈 2024. 5. 13. 10: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일 K리그1 인천 유나이티드-FC서울. ⓒ 쿠팡플레이 중계화면 캡처

‘300만 관중 시대’를 맞이한 프로축구 K리그 현장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의 불미스러운 광경이 ‘경인 더비’에서 펼쳐졌다.

FC서울은 지난 11일 인천 축구 전용경기장에서 펼쳐진 ‘하나은행 K리그1 2024’ 12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전에서 2-1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이날 승리로 서울은 4승3무5패(승점15)로 리그 6위, 인천은 3승5무4패(승점 14)로 7위에 자리했다.

우중 혈투 속 이날 경기는 거친 몸싸움과 신경전으로 과열 양상을 띠었다. ‘경인 더비’로 불릴 만큼 치열한 라이벌전에서는 레드카드 1장, 옐로우카드 6장이 쏟아졌다. 판정에 항의하던 조성환 인천 감독도 옐로카드를 받았다. 과열 양상의 여파는 종료 휘슬이 울린 뒤 물병 집단 투척 사태로 이어졌다.

서울 골키퍼 백종범이 인천 서포터즈 앞에서 승리의 세리머니를 펼쳤는데 이에 격분한 서포터들이 물병을 투척하는 거친 반응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서울 미드필더 기성용은 급소를 맞고 쓰러졌다. 다행히 일어나 스태프 도움을 받아 경기장을 빠져나갔지만 가슴 철렁한 순간이었다. 인천 선수들까지 팬들을 향해 “자제해달라”고 외치면서 잦아들었다.

경기 후 서울 김기동 감독은 “더비인 만큼 과하지만 않다면 흥분하는 상황은 충분히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선수들이 다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제하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한다. 크게 다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인천 구단은 지난 11일 공식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물병 투척 사고에 대한 사과문을 게재했다.

인천은 전달수 대표이사 명의의 사과문을 통해 “홈경기를 운영하는 구단은 모든 팬이 안전하게 경기를 관람하고 선수들을 보호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나 순식간에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관람객과 선수들에게 심려를 끼쳐 드리게 된 것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K리그를 사랑하는 팬과 모든 관계자 여러분들에게 다시 한번 고개 숙여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리그 관계자들은 “이번 사태에 따른 책임으로 인천 구단이 중징계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이제 관심은 징계 수위다.

11일 K리그1 인천 유나이티드-FC서울. ⓒ 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2일 "당시 현장에 있던 경기 감독관의 보고서를 확인하고 경기 평가 회의 등을 거친 뒤 상벌위원회 회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축구연맹은 인천 구단 측에 경위서를 받을 예정이며, 사안이 중대할 경우 징계를 내릴 가능성이 높다.

프로축구연맹 규정에 따르면, 물병 투척은 징계 대상이다. 그라운드 내 이물질이 투척할 경우 ▲무관중 홈경기 ▲연맹이 지정하는 제3지역 홈경기 개최 ▲300만 원 이상의 제재금 부과 ▲응원석과 원정 응원석 폐쇄 등의 징계가 내려진다.

K리그는 관중 돌발 행동은 이를 제지하지 못한 홈 팀에 책임을 묻는다. 물병 투척에 따른 연맹의 징계 수위는 높은 편이지만, 무관중 경기 징계까지는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대부분 제재금으로 끝났다. 연맹은 지난 2022년 8월 대전하나시티즌 팬들이 경기가 끝난 뒤 심판진을 향해 물병을 투척, 대전 구단 측에 1000만 원의 제재금을 부과했다. 당시 물병에 맞은 심판은 부상을 당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수원 삼성의 강등이 확정된 리그 최종전에서 수원 팬들이 연막탄과 페트병을 던져 수원에 500만 원 제재금 징계가 내려졌다.

무관중 징계는 직접적 가해가 있을 때만 내려졌다. 팬들이 상대 선수들을 라커 룸에 감금하거나 경기장에 난입해 마스코트를 폭행하는 등 직접적인 가해가 있을 때, 무관중 징계가 내려졌다. 지난 2012년 인천은 K리그 최초로 무관중 경기를 진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한 프로축구계 관계자는 “(이번에는)최소한 '서포터스석 무관중 징계' 정도는 나와야 하는 것 아니냐. 어린 자녀를 포함한 가족과 연인 단위 관중들도 부쩍 늘고 있다. K리그는 어느덧 유료관중 300만 시대로 흥행에도 불이 붙고 있다. 성숙한 관람 문화가 절실하다. 그만큼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 조치할 필요가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