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 건전성 '악화일로'…부실 대응력도 '뚝'

고정삼 2024. 5. 13.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JB금융지주의 자산건전성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JB금융의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한 배경엔 장기화하는 고금리·고물가 환경이 자리하고 있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JB금융의 부실 대응력은 오히려 약해졌다.

JB금융은 지난해부터 부실 관리를 위해 가계 신용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해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년 만에 NPL비율 1% 돌파
NPL 커버리지비율은 하락세
중·저신용자 대출 '취약고리'
비은행 경쟁력 강화에 걸림돌
리스크 이미지. ⓒ연합뉴스

JB금융지주의 자산건전성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고금리 장기화로 중·저신용자에 내준 신용대출에서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탓이다. 그럼에도 부실 대응력은 갈수록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우려를 가중한다. JB금융이 악화한 건전성을 관리하느라 경쟁사들에 비해 뒤지는 사업 다각화 수준을 끌어올리는 작업에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JB금융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올 1분기 말 기준 1.00%로 1년 전보다 0.16%포인트(p) 올랐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0.14%p 상승했다. JB금융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7년 6월 말(1.03%) 이후 약 7년 만이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금융사가 실행한 전체 대출에서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주는 지표다. 이 비율이 1.0%라는 것은 대출로 내준 10억원 중 1000만원은 사실상 '떼인 돈'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다.

대출채권 상태별로 보면 고정 여신이 2815억원으로 43.8% 증가했다. 또 '잠재부실'로 분류되는 요주의 여신도 7471억원으로 84.5%나 급증했다. 요주의는 1~3개월가량 연체돼 고정이하여신으로 잡히기 전 단계에 놓인 채권이다. 앞으로도 부실화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통상 금융사는 건전성 관리를 위해 연말 부실채권 정리 규모를 확대한다. 그럼에도 JB금융의 건전성 지표는 갈수록 악화 추세를 그리고 있어 우려를 키운다.

JB금융의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한 배경엔 장기화하는 고금리·고물가 환경이 자리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2021년 8월 0.50%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월까지 10차례 인상해 3.50%로 급격히 끌어올렸다. 같은 해 2월 이후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지속되고 있지만, 대출자들이 감당하기엔 여전히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JB금융은 그동안 거점 지역의 한계 속 수익성 확보를 위해 중·저신용자 대출을 대거 취급해왔다. 문제는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이들의 빚 상환 여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점이다. 실제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크게 치솟고 있다.

전북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 1분기 말 기준 2.18%로 전분기 대비 0.53%p나 뛰었다. 이는 은행권 가계대출 평균 연체율(지난 2월 말 기준 0.42%)보다 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광주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0.93%로 0.03%p 오르며 1%를 목전에 두고 있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JB금융의 부실 대응력은 오히려 약해졌다. JB금융의 부실채권(NPL) 커버리지비율은 지난 1분기 말 기준 124.9%로 전년 동기 대비 12.4%p 하락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18.5%p나 떨어졌다. NPL 커버리지비율은 위기 상황 속 금융사의 손실흡수능력을 보여준다.

JB금융은 지난해부터 부실 관리를 위해 가계 신용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해왔다. 그럼에도 새로운 부실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JB금융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1분기 말 기준 4조49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01억원(8.4%) 감소했다.

무엇보다 JB금융은 다른 지방금융지주사에 비해 부족한 사업 다각화 수준을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갈수록 악화하는 건전성이 비은행 경쟁력 강화에 발목을 잡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JB금융의 NPL 비율과 연체율 모두 전분기보다 상승했다"며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완만하게 상승하는 가운데 기업 담보부 여신의 건전성 지표도 악화한 부분이 특징"이라고 짚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