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원 바비큐' 퇴출시킨 백종원…춘향제 바가지 요금 사라졌다

김은하 2024. 5. 12. 11: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과거 바가지요금으로 논란이 됐던 춘향제 물가를 잠재웠다.

앞서 남원시는 지난해 춘향제에서 바가지요금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백 대표는 지난 2일 유튜브 채널에 올린 '남원춘향제-바가지요금의 성지, 그곳에 다녀왔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축제에 선발된 참가자들을 만나 "경쟁력 있든 없든 어떻게든 잡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꼬치어묵 개당 900원 분식점 보다 저렴
온라인 커뮤니티 인증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과거 바가지요금으로 논란이 됐던 춘향제 물가를 잠재웠다.

12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지난 10일 개막한 제94회 남원 춘향제 후기들이 올라와 메뉴 가격들이 공개됐다. 직화구이 치킨 한 마리 1만5000원이었고, 막걸리와 부침개 2장이 9000원이었다. 돼지 수육은 6000원, 떡볶이는 3500원, 꼬치어묵은 개당 900원으로 분식점보다 싸게 팔았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누리꾼들은 가격이 찍힌 영수증을 공유하며 "지난해는 말도 안 되는 4만원 바비큐 사건이 있었는데 아예 다른 축제가 된 듯하다”고 감탄했다. 그러면서 '역시 백종원'이라고 입을 모았다. 앞서 이번 춘향제는 백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와 협업해 먹거리를 선보였다.

올해 춘향제는 지역 상인들에게 먹거리 부스와 농특산물·소상공인 판매 부스 126개를 직영으로 임대한 한편 입점권 전매를 금지하고 모든 메뉴는 가격 중량을 표시한 정찰제로 1만 원 이하로 판매하기로 했다.

앞서 남원시는 지난해 춘향제에서 바가지요금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음식 가격이 터무니없다는 후기가 인터넷에 올라왔기 때문이다. 4만 원짜리 통돼지 바비큐와 1만8000원 해물파전의 사진과 함께 양이 매우 적다고 느낀 후기였다.

그만큼 올해 춘향제에서는 바가지요금을 없애려 노력했다. 또 백 대표의 협업 결과에 관심이 쏠리기도 했다.

[사진출처=백종원 유튜브]

백 대표는 지난 2일 유튜브 채널에 올린 ‘남원춘향제-바가지요금의 성지, 그곳에 다녀왔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축제에 선발된 참가자들을 만나 “경쟁력 있든 없든 어떻게든 잡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백 대표는 '비싼 자릿세'를 꼬집기도 했다. 그는 “축제의 문제는 분양하듯 세를 받는 것이다. 여러 단계를 거치고 한 철 장사니 축제 음식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우리가 들어가는 축제는 절대 자릿세가 없다. 축제를 통해서 지역을 홍보하고 지역에 다시 찾아올 수 있는 즐거움을 주자는 게 모토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번 춘향제에서 백 대표는 ‘몽룡이 돼지 수육’, ‘춘향이도 즐겨 먹는 돼지스튜’, ‘춘향이 샌드위치’ 등 춘향제 특색에 맞는 독특한 메뉴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남원 춘향제가 좋은 본보기가 되길 바란다”며 “성공해서 다른 지역들도 본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진출처=백종원 유튜브]

백 대표는 자신의 고향인 충남 예산의 상설시장 리모델링과 컨설팅을 시작으로 지역 축제 먹거리 살리기에 나서겠다고 선언한 뒤, 금산세계인삼축제 먹거리도 성공적으로 탈바꿈시킨 바 있다. 인삼축제를 비롯해 이번 춘향제 등 축제 관련 컨설팅 과정은 그의 유튜브 채널 '축지법(축제로 지역을 살리는 법)'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남원시는 오는 16일까지 열리는 춘향제 기간 바가지요금 신고 제도와 정량 표기, 레시피 관리, 전담 직원 매칭 등을 도입하는 등 바가지 논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힘쓰기로 했다. 바가지요금 적발 시에는 즉시 퇴거 조치와 함께 행정처분과 형사 고발을 실시, 엄정 대처할 계획이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