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1분기 영업익 4.2%↑...B2B 사업 성장세 뚜렷

민단비 2024. 5. 10. 08: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T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4.2% 증가하는 등 견조한 실적을 내놨다.

지난해 1분기 실적 부진으로 인한 기저효과와 더불어 기업간거래(B2B) 사업 매출의 안정적인 성장 덕이다.

AICC(AI 컨택센터)·IoT(사물인터넷)·스마트모빌리티·스마트공간·에너지 등 5대 성장사업도 AICC, IoT를 중심으로 대형사업의 수주와 고객 확대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4.9%의 매출 성장을 거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출 3.3% 증가한 6조6546억
통신·비통신 실적 모두 성장
무선 서비스 매출 1.9% 상승
기업 서비스 부문은 5% 증가
KT 이스트 빌딩 전경. ⓒKT

KT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4.2% 증가하는 등 견조한 실적을 내놨다. 지난해 1분기 실적 부진으로 인한 기저효과와 더불어 기업간거래(B2B) 사업 매출의 안정적인 성장 덕이다.

KT는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50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늘었다고 10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6조6546억원으로 3.3% 증가했다.

별도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조6948억원, 3938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6%, 영업이익은 1.5% 늘었다. 별도 서비스 매출은 4조406억원으로, 2010년도 이후 약 14년만에 1분기 기준 서비스 매출 4조원을 돌파했다.

사업별로 보면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올랐다.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74%인 995만명을 돌파하고 로밍 사업의 성장과 알뜰폰(MVNO) 시장 확대에 따른 결과다.

유선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성장했다. 이 중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2.1%, 미디어 사업 매출은 2.3% 늘었다.

기업서비스 사업 매출은 8950억원으로 5% 증가했다. 기업인터넷·데이터 사업의 견조한 성장 속에서 기존에 수주한 대형 사업에서 발생한 매출과 기업의 AX(AI 전환) 서비스 수요 확대 영향이다.

AICC(AI 컨택센터)·IoT(사물인터넷)·스마트모빌리티·스마트공간·에너지 등 5대 성장사업도 AICC, IoT를 중심으로 대형사업의 수주와 고객 확대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4.9%의 매출 성장을 거뒀다. 특히 금융사의 AICC 도입 확대와 원격관제, 환경, 안전 등 IoT 수주 활성화로 AICC와 IoT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두 자리 수 매출 성장을 이뤘다.

KT그룹은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에서도 매출과 영업이익의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다. 먼저 케이뱅크는 지난 1분기 말 수신 잔액 24조원, 여신 잔액 14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1%, 23.6% 증가했다.

KT에스테이트는 분양 및 임대 사업 간 균형 잡힌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0..3% 늘었다. KT클라우드 매출은 17.8% 성장했다.

장민 KT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KT그룹은 B2C, B2B 사업과 그룹사의 안정적인 성장으로 시장의 기대에 부합하는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AICT 기업으로의 도약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모두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