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 드러날수록 쾌감 느껴”… 日 10대 사이 퍼진 섭식 장애, 모습 들여다보니

임민영 기자 2024. 5. 9. 11: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일본 청소년들 사이에서 극단적으로 식사량을 제한하는 섭식 장애가 확산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일본 현지 매체 CBC테레비에 따르면 일본에서 사는 일부 10대들이 체중을 줄이기 위해 섭식 장애를 앓고 있다.

CBC테레비는 일본 아이치현에 거주하는 와타나베 유안(18)이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섭식 장애를 겪었다고 보도했다.

현재 일본 내 섭식 장애 환자는 약 24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외토픽]
최근 일본 청소년들 사이에서 극단적으로 식사량을 제한하는 섭식 장애가 확산하고 있다./사진=CBC테레비
최근 일본 청소년들 사이에서 극단적으로 식사량을 제한하는 섭식 장애가 확산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일본 현지 매체 CBC테레비에 따르면 일본에서 사는 일부 10대들이 체중을 줄이기 위해 섭식 장애를 앓고 있다. CBC테레비는 일본 아이치현에 거주하는 와타나베 유안(18)이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섭식 장애를 겪었다고 보도했다. 와타나베는 초등학교 6학년 당시 키와 체중이 각각 155cm, 26kg으로 뼈가 드러날 정도로 저체중이었다. 그는 “마른 사람 사진을 보면 얼마나 숫자를 줄일지 게임처럼 생각했다”며 “체중이 줄어들었을 때의 쾌감에 점점 빠져들었다”고 말했다. 와타나베는 섭식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중학생 때부터 병원 입·퇴원을 반복했다.

15년째 섭식 장애를 앓고 있는 30대 여성의 사례도 전해졌다. 이 여성은 키 158cm에 몸무게 38kg으로, 증상이 과거보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치료 중이다. 그는 “예전에는 30kg일 때에도 살을 더 빼고 싶다고 생각했다”며 “뼈가 보일수록 기뻐서 어쩔 줄 몰랐다”고 말했다. 이 여성은 27세 때 체중이 27kg까지 떨어져 병원에 입원했고, 걸을 수 없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현재 일본 내 섭식 장애 환자는 약 24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섭식 장애는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음식 섭취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섭식 장애에는 대표적으로 거식증과 폭식증이 있다. 거식증 환자는 살이 찌는 것에 공포와 걱정을 느끼고, 비만이 아님에도 자신이 비만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체중을 줄이기 위해 식사량을 제한하거나, 먹은 뒤 인위적으로 구토하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반대로 폭식증은 음식에 대한 자제력을 잃고 비상식적으로 많은 양을 한꺼번에 먹은 뒤, 의도적으로 구토와 설사를 일으키는 것이다. 섭식 장애는 거식증과 폭식증이 모두 나타날 수 있으며, 환자에 따라 일부 증상만 보이기도 한다.

섭식 장애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환자들은 날씬함을 강조하는 사회적 압력, 대중매체 등에 영향을 받아 섭식 장애를 겪을 수 있다. 도파민, 세로토닌 등 신경전달물질 이상으로 인해 식욕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섭식 장애 환자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섭식 장애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5만213명이다. 2018년에는 환자 수가 8321명이었는데, 2022년 1만2477명으로 49.9% 증가했다.

섭식 장애가 심해 영양 상태에 문제가 있거나 합병증이 동반된다면 입원 치료해야 한다. 환자들은 천천히 체중을 늘리기 위해 식사량을 조금씩 늘리고, 매일 같은 시간에 식사해 규칙적인 생활을 실천해야 한다. 행동 수정 프로그램을 진행해 식사 후 2시간 동안 환자를 관찰하고, 식사 후 구토 여부를 확인하기도 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