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딩동~ 링딩동~ 링디기딩디기" 자꾸 음악 맴도는 '귀 벌레 현상'… 당신도 혹시 피해자?

이해나 기자 2024. 5. 3. 21: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길거리 상점에서 튼 노래를 우연히 들었다가 멜로디가 종일 귀에서 맴돌아 흥얼거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특정 노래의 가사 또는 멜로디가 의도치 않게 반복되는 것을 '귀 벌레(earworm) 현상'이라고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정 멜로디나 가사가 종일 귀에서 맴돌아 흥얼거리게 되는 걸 '귀 벌레' 현상이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길거리 상점에서 튼 노래를 우연히 들었다가 멜로디가 종일 귀에서 맴돌아 흥얼거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특정 노래의 가사 또는 멜로디가 의도치 않게 반복되는 것을 '귀 벌레(earworm) 현상'이라고 한다. 미국 신시내티대 제임스 켈라리스 교수에 따르면 귀 벌레 현상은 전 세계 인구의 98%가 경험할 정도로 흔하다. 90% 이상의 사람들은 최소 일주일에 한 번은 이 현상을 겪고 있으며, 4명 중 1명은 하루에도 여러 차례 귀 벌레 현상을 느낀다고 알려졌다. 귀 벌레 현상은 대체 왜 나타나는 것일까?

귀 벌레 현상의 원인은 다양하다. 심리학자들은 뇌가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이런 현상을 발생시킨다고 본다. 특히 많은 사람 앞에서 발표해야 하거나 중요한 시험을 앞둔 상황에서 뇌는 극도의 긴장 상태가 된다. 뇌는 긴장을 완화하려고 흔한 멜로디나 구절을 반복한다. 이때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곡이 반복되진 않는다. 자신이 지금까지 들었던 곡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곡의 특정 구간이 반복된다. 영국 더럼대, 골드스미스 런던대, 독일 튀빙겐대 공동 연구진이 2011년~2013년 총 3년간 300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중독성이 강한 노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귀 벌레 현상을 일으키는 노래는 ▲흔한 멜로디 ▲약간 빠른 박자 ▲불규칙한 음정 간격이 반복된다는 특징이 있었다. 가장 중독성이 강한 노래로는 앞선 기준을 충족하는 팝가수 레이디 가가의 '배드 로맨스(Bad Romance)'가 꼽혔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룹 샤이니의 곡 '링딩동'이 수능을 앞둔 학생들의 집중을 흩트릴 정도로 귀에서 반복된다고 해 '수능 금지곡'이란 별명이 붙기도 했다.

귀 벌레 현상은 수능 등 중요한 시험을 앞둔 사람의 긴장을 완화하지만, 집중력을 떨어트릴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귀 벌레 현상을 극복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껌을 씹는 것'이다. 잉글랜드 레딩대 연구에 따르면 껌을 씹으면 특정 노래가 머릿속에 맴돌 확률이 낮아진다. 연구팀은 98명의 실험자에게 중독성이 강한 마룬파이브(Maroon 5) 곡을 들려준 후, 세 집단으로 나눠 노래가 맴도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했다. 첫 번째 집단은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했고, 두 번째 집단은 손가락으로 테이블을 두드리게 했으며, 세 번째 집단은 껌을 씹게 했다. 그 결과, 껌을 씹은 집단이 다른 두 집단보다 노래가 떠오를 확률이 3배 줄었다. 느린 박자의 노래를 듣거나 풀벌레 소리, 바람 소리 등 자연의 소리 같은 백색소음을 듣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특정 구간이 반복되는 문제의 노래를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들으면 귀 벌레 현상이 사라질 수 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