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백' 교통카드 불티…"벌써 100만명"

방서후 2024. 4. 30. 17: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사용액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K-패스가 다음달 1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강희업 대광위 위원장은 "보다 많은 국민이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40여 개 지자체와 지속 협의해나가고, 쉽고 편리한 이용환경을 만들기 위해 이용자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 기자]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사용액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K-패스가 다음달 1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교통비를 최대 절반 이상 아낄 수 있는 만큼 벌써 100만명 이상이 가입해 혜택을 기다리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새로 K-패스를 발급받은 회원은 25만여명이다. 지난 24일 카드 신청 접수를 시작한 지 일주일만이다.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로 전환을 마친 회원은 82만여명으로, 신규와 전환 회원을 합하면 107만여명에 달한다. 국토부는 이날 추가로 3만명가량이 K-패스에 가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K-패스 환급은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한 달에 15회 이상 사용하면 적용되며, 환급액 최대 기준치는 월 60회 사용액이 한도다. 일반 이용자는 사용액의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를 각각 환급 받는다.

월평균 7만 원을 지출하는 이용자라면 일반인은 1만4천원, 청년은 2만1천원, 저소득층은 3만7천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뜻이다. K-패스 혜택 외에 카드사별로 이용 실적에 따라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실질적 절감 효과는 이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로 K-패스 발급을 원하면 카드사에서 상품을 골라 카드를 발급받은 뒤 K-패스 공식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카드번호를 등록하면 된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들은 6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웹사이트에서 K-패스 회원으로 전환 가능하다.

다만 K-패스 회원가입을 하기 위해서는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참여 지방자치단체에 주민등록이 돼 있어야 한다. 현재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은 17개 시·도 및 189개 시·군·구로, 인구수가 적은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가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경기·인천 주민들을 위한 '더(the) 경기패스', '인천 I-패스'도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된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향후 부산 등 다른 지자체와 협력해 K-패스와 지자체 지원사업을 연계하는 지역맞춤형 K-패스 사업을 지속 발굴할 방침이다.

강희업 대광위 위원장은 "보다 많은 국민이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40여 개 지자체와 지속 협의해나가고, 쉽고 편리한 이용환경을 만들기 위해 이용자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전했다.


방서후기자 shban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