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못찾은 집 또 늘었다…'악성 미분양'도 8개월째 증가

성낙윤 2024. 4. 30. 14: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택 시장의 침체된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지난달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8개월 연속 쌓이고 있다.

악성 미분양 물량은 수도권(-1.1%)에서는 서울(503→490호), 경기(1183→1,123호)에서 감소했고, 인천(599→648호)에서 증가했다.

한편,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2,816건으로 전월보다 21.4%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성낙윤 기자]

주택 시장의 침체된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지난달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8개월 연속 쌓이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3월 주택 통계 발표'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미분양주택은 6만4,964가구로 전월 대비 0.1%(90가구) 늘었다.

집을 다 지었는데도 새 주인을 찾지 못한 '준공 후 미분양'은 1만2,194호로 전월(1만1,867호) 대비 2.8%(327호) 늘었다. 지난해 8월부터 8개월 연속 증가하는 중이다.

악성 미분양 물량은 수도권(-1.1%)에서는 서울(503→490호), 경기(1183→1,123호)에서 감소했고, 인천(599→648호)에서 증가했다.

지방(3.7%)에서는 대구(1,085→1,306호, 20.4%)와 경북(790→1,008호, 27.6%)의 오름세가 눈에 띄었다.

3월 기준 주택 인허가는 2만5,836가구로 전월(2만2,912가구) 대비 12.8% 늘었다. 다만 1분기 전체로 봤을 때 인허가는 7만4,55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2.8% 감소했다.

주택 착공은 1만1,290가구로 전월(1만1,094가구) 대비 1.8% 늘었다. 착공 역시 1분기 누계치로 봤을 때는 4만5,35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20.6% 줄었다.

준공은 4만9,651가구로 전월(3만8,729가구) 대비 28.2% 증가했다. 준공은 1분기 기준 12만5,142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8.2% 늘었다.

반면, 분양(승인)은 2,764가구로 한 달 전(2만6,094가구) 대비 89.4% 감소했다. 3월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개편 영향에 신규 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2,816건으로 전월보다 21.4% 증가했다. 수도권은 2만2,722건으로 20.1%, 지방은 3만94건으로 22.5% 증가했다. 아파트와 비아파트가 각각 20.7%, 23.9%씩 늘었다.
성낙윤기자 nyseon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