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9만원 뛴 '성주 金참외'…마트 바이어는 경매장 출석한다

이수정 2024. 4. 26. 05: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한 참외 농가에서 김영옥씨가 벌통을 두드리고 있다. 이수정 기자.

“비가 오니 수꽃·암꽃 옮겨 다닐 벌들이 꼼짝을 안 하네.”

지난 24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의 한 비닐하우스. 참외 농사를 짓는 김영옥(66)씨가 비닐하우스 앞에 놓인 벌통을 툭툭 쳤다. 김씨 손길에 벌들이 잠깐 나왔다가는 금세 벌통으로 숨어버렸다. 예년 이맘때 같으면 벌이 참외 꽃을 오가며 내는 앵앵 소리에 귀가 따가웠을 텐데, 이날은 비닐하우스 위로 투둑투둑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에 나지 않았다. 김씨는 “지금이면 쏟아져야 할 참외 물량이 지난해 3분의 1밖에 안 나왔다”며 “비가 잦아 수정도 잘 안 되고, 열매를 맺어도 금방 죽기가 일쑤”라 말했다. 지난해 2~3월 성주 지역 강우량은 37㎜였지만, 올해 같은 기간엔 그 5배가 넘는 194㎜가 내렸다. 김씨는 “작년에 한 박스 4만원 하던 게 올해는 9만~10만원까지 올랐는데, 팔 참외가 많지 않으니 (가격 인상도) 달갑지도 않다”고 말했다.

김영희 디자이너


‘극 신선식품 참외’ 대부분 새벽 수확익일 판매


성주 참외 농가의 하루는 새벽 6시면 시작된다. 김씨처럼 수십 년 참외를 봐온 농민들이 인공지능(AI) 못지않은 눈으로 오늘 수확할 참외를 감별해낸다. 노랗다 못해 누렇게 잘 익어야 합격. 소쿠리에 소복하게 담긴 참외는 농가 공동선별·판매장인 초전농협으로 보내진다. 이렇게 성주 5개 공판장에 모이는 참외가 전국 참외의 80%를 차지한다.

이날 오전 11시쯤 초전농협에서 만난 이종윤 초전농협 공판장장은 “마트와 계약한 참외는 이미 실려 나가 내일 전국 마트의 매대에 깔릴 것”이라며 “낮 12시 30분 경매가 열리면 오늘 아침에 딴 모든 참외가 오후에 전국 각지로 나간다”고 설명했다.

24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한 참외 농가에서 김영옥씨가 내보인 참외. 색깔이 비슷해 보이지만 오른쪽 참외가 더 샛노랗고 잘 익은 참외다. 이수정 기자

밭에서 소비자 손까지 하루만에 이어지는 ‘로켓 유통’은 ‘극 신선식품’인 참외 특성 때문이다. 사과·포도 등과 달리 참외는 미리 따서 저장고에 보관하며 수급을 조절할 수가 없다. 궂은 날씨에 물량이 달리기도 하지만, 반대로 날만 좋으면 참외가 홍수처럼 쏟아져 가격이 뚝 내려가는 등 가격 변동성이 크다. 30년째 참외 농사를 짓는 이점덕(66)씨는 “올해는 사과값이 비싸 여름 햇사과가 나오기 전까까지 ‘참외의 무대’를 기대했는데, 물량이 적어 속상하다”고 말했다.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달 참외 판매량은 전년 대비 6% 늘었지만, 이달은 수급이 어려워 전년에 못 미쳤다. 농가에서는 맑은 날이 이어지면 5월부터는 참외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


‘빨간 모자’ 획득한 이마트 바이어


24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초전농협에서 참외 경매를 진행하는 모습. 이수정 기자
참외값의 등락 폭이 크자 유통가에서는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마트 바이어가 직접 참외 공판장 중도매인으로 등록해 중간 유통 과정을 줄여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도 한다. 이날 낮 12시 30분. 성주 공판장에서 참외 경매가 시작되자 숫자 10이 적힌 빨간 모자를 쓴 김교진(48) 이마트 바이어의 손길이 바빠졌다. 빨간 모자는 중도매인임을 알리는 표시다. “9만2000원 88번, 낙찰” 빠르게 지나가는 경매사 말에 중도매인 입찰 단말기 버튼 소리만 여기저기서 울렸다. 한참을 살펴본 김 바이어는 “오늘은 가격이 높아 물건을 사지 않기로 했다”며 구매를 미뤘다. 김 바이어는 24년째 농산물만 맡은 베테랑인데, 올해는 아예 성주 인근으로 이사했고 매일 공판장을 오갈 계획이다.
24일 김교진 이마트 바이어가 참외 공판장 경매 시작 전 참외 당도를 체크하고 있다. 사진 이마트

김 바이어가 중도매인으로 직접 꼼꼼하게 고른 참외는 이마트 후레시센터(농산물 물류센터)로 보내 선별 작업을 거친 뒤, 다음 날 아침 전국 20여개 점포 매대에 오른다. 중도매인 수수료 등 중간 마진과 협력사에 맡기던 포장·선별작업 단계가 없고, 물류비도 사라지다보니 기존 참외보다 최대 20% 싸진다. 김 바이어는 “참외 출하량이 느는 5월에는 제가 직접 고른 제철 참외를 더 저렴하게 맛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주=이수정기자 lee.sujeong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