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석동 아파트단지 이름이 서반포?…"동작구가 창피하냐"

최승우 2024. 4. 21.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 들어설 예정인 아파트 단지명이 '서반포 써밋 더힐'로 정해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흑석 1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은 조합원 투표에 따라 아파트 단지명을 '서반포 써밋 더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21일 "지명을 활용해 아파트 이름을 지을 때 법정동·행정동을 준수해달라"는 공동주택 명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상 흑석동인데 ‘서반포 써밋 더힐’
“부촌 이미지로 아파트값 올리려는 꼼수” 비판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 들어설 예정인 아파트 단지명이 ‘서반포 써밋 더힐’로 정해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부촌으로 꼽히는 지역명을 넣어 아파트 가격을 올리려는 편법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흑석 1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은 조합원 투표에 따라 아파트 단지명을 ‘서반포 써밋 더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서반포’라는 지명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며, ‘더힐’은 초고가 아파트로 유명한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에서 따온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아파트 단지는 흑석동 304번지 일대에 지하 5층∼지상 16층, 25개 동, 1522가구의 대단지로 지어진다. 한강을 조망할 수 있고 서울 지하철 9·4호선 동작역과 흑석역을 이용할 수 있다. 시공사는 대우건설로 하이엔드 브랜드가 적용된다.

흑석11구역 재정비촉진사업 단지계획안 [이미지 출처=서울시 제공]

행정구역상 흑석동에 지어지는 아파트에 ‘반포’를 넣은 것은 부촌의 이미지를 얻어 아파트 가격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인근에 조성되는 아파트 단지들이 ‘흑석 아크로리버하임’이나 ‘흑석 리버파크 자이’ 등으로 이름을 정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누리꾼들은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 되지 않는다”, “동작구 흑석동 사는 게 창피한가”, “얄팍한 마케팅이다”, “한강 아래 있는 건 마찬가지니 그냥 강남이라고 지어라”라고 작명에 대해 비판했다. 그러나 “자본주의 국가에서 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인데 누가 뭐라고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이처럼 아파트명을 붙인 전례는 또 있다. 마포구 대흥동에 있는 ‘신촌 그랑자이’는 2022년 이름을 ‘마포 그랑자이’로 변경했다. 신촌보다 마포가 아파트 이미지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2020년 준공된 ‘목동 센트럴파크 아이파크 위브’의 경우 소재지가 양천구 목동이 아닌 신월동이다. 서울 은평구 수색역 일대에 지난해 준공된 아파트 3개 단지명에는 ‘DMC파인시티자이’와 ‘DMC아트포레자이’, ‘DMC SK뷰아이파크포레’ 등 모두 ‘수색’이 아닌 ‘DMC(디지털미디어시티)’라는 이름이 들어갔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21일 “지명을 활용해 아파트 이름을 지을 때 법정동·행정동을 준수해달라”는 공동주택 명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아파트 이름을 복잡하게 만드는 외국어 별칭 사용의 자제 ▲단지명을 10글자 이내로 지정할 것을 권고 ▲고유 지명 사용을 지향 ▲다른 행정동·법정동 이름을 가져다 쓰지 말 것 등이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