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의료AI·DTx 국제공동연구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의료분야 국제공동연구를 지원하는 '2024년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소프트웨어) 협력'사업을 오는 22일부터 공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디지털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본격적인 AI·디지털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첨단기술 시너지 창출을 위한 글로벌 연구협력체계 구축은 필수"라며 "의료분야 등 AI혁신이 기대되는 분야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선도적인 AI역량을 확보하고 디지털혜택을 전 사회가 향유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의료분야 국제공동연구를 지원하는 '2024년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소프트웨어) 협력'사업을 오는 22일부터 공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의료 분야에선 의료AI(인공지능), DTx(디지털치료기기) 등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 중으로, 정부 차원의 전략적 국제협력과 함께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선진기술 확보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올해 50억원 규모로 신규 추진하는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 협력' 사업은 기존 국내외 선진기관 간 단편적 연구를 넘어, 의료AI 또는 DTx 분야에 대해 연구개발형과 사업화형 등 2개 유형으로 구분해 총 3개 과제를 지원한다.
연구개발형은 의료데이터 확보, 의료AI 또는 DTx 개발, 국내외 의료기관 대상 임상시험 등 초기개발 단계에 대해 2개 과제를 지원한다. 사업화형은 의료AI 또는 DTx 임상시험, 인허가 획득 등 서비스 안정성·유효성 확보 및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1개 과제를 지원한다.
국내외 의료데이터 확보와 의료AI·DTx 신뢰성·유효성·안정성 검증에 많은 비용·시간이 필요한 의료분야 특수성을 고려해 연구개발형은 연간 16억원 이내, 사업화형은 연간 18억원 이내 규모로 최대 3년 동안 지원할 예정이다.
ICT기업과 의료데이터 수집·가공, 성능평가, 실증(임상)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의료기관, 연구역량을 보유한 대학 등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사업에 지원할 수 있다. 과제 추진계획, 기술개발 역량, 국제협력 구체성 등을 종합적으로 마련한 연구개발계획서를 제출하면 된다. 선정절차 등 상세내용은 IRIS(범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 및 IITP(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오는 30일 사업설명회도 개최한다.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디지털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본격적인 AI·디지털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첨단기술 시너지 창출을 위한 글로벌 연구협력체계 구축은 필수"라며 "의료분야 등 AI혁신이 기대되는 분야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선도적인 AI역량을 확보하고 디지털혜택을 전 사회가 향유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머리뼈에 톱날 박혔는데 `황당 봉합`…의사 "종종 발생하는 일, 죄송"
- `계곡살인` 이은해, 피해자 남편과 혼인 무효…"착취 관계"
- 얼마나 벌었길래..."김어준, 서대문 충정로 사옥 건물 70억에 매입"
- 적반하장 대리기사...손님 차로 사고 내고 되레 큰소리, 협박 문자까지 보내
- "스벅 왔는데 내 눈을 의심했다"…대형 모니터 설치한 민폐 손님
- 올해도 보험사 건전성 지표 `뚝`… 금감원 자본 관리 옥죈다
- 기나긴 건설사의 겨울… 역세권 개발사업으로 타개한다
- 中 지준율 인하 단행...위안화 절하효과에 美 `가시눈`
- 대세 굳히러 안방行 이재명 "호남人 아닌데 지지 감사, 보답할 것"
- 1분기 나라살림 61조 적자 `역대 두번째`…추경 반영시 적자 더 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