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맛 열풍’에 쏟아진 소스들…건강에 끔찍한 ‘캡사이신·나트륨’ 잔뜩

맹찬호 2024. 4. 18.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매운맛 소스를 먹을 경우 캡사이신류 함량이 제품 간 270배 넘게 차이가 났으며 하루 나트륨 기준치를 넘게 섭취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매운맛 소스 국내 11종과 수입 9종 등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과 매운맛 정도, 영양성분,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연맹, 매운맛소스 20개 시험·평가
틈새소스, ‘캡사이신류’ 함량 가장 많아
제품마다 나트륨 함량 최대 ‘51배’ 차이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판매중인 불닭 소스 제품. ⓒ뉴시스

시중에 판매되는 매운맛 소스를 먹을 경우 캡사이신류 함량이 제품 간 270배 넘게 차이가 났으며 하루 나트륨 기준치를 넘게 섭취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매운맛 소스 국내 11종과 수입 9종 등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과 매운맛 정도, 영양성분,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매운맛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캡사이신류 함량을 시험 결과 틈새소스(팔도)가 877.2㎎/㎏ 가장 많았고, 제이-렉 스리라차 소스(천하코퍼레이션)이 3.2㎎/㎏으로 최대 274배 차이가 났다.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합쳐 100㎎/㎏이 넘는 제품은 리고 루이지애나 엑스트라 핫소스(훼밀리인터내셔날·101.5㎎/㎏), 만능 마라소스(더본코리아·151.6㎎/㎏), 불닭소스(삼양·250.4㎎/㎏), 고맙당 저당 핫불닭소스(특별한맛·323.3㎎/㎏) 등이었다.

나트륨 함량은 네키드크루의 진돗개핫소스가 1회 기준량을 100g으로 잡을 경우 2909.09㎎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나트륨 일일 권장 섭취량(2000㎎)을 크게 넘어선 수준이다. 벨라 핫 양념치킨 소스는 나트륨 함량이 756.89㎎으로 가장 낮아 진돗개핫소스와 51배 차이가 났다.

WHO 나트륨 일일 권장 섭취량을 넘는 제품은 리고 루이지애나 엑스트라 핫소스(2022.07㎎), 만능 마라소스(더본코리아·2155.01㎎), 스리라차핫칠리소스(미성패밀리·2461.74㎎), 틈새소스(2031.95㎎) 등 5개다.

제이-렉 스리라차 소스와 아얌 스리라차 칠리소스(티디에프코리아), 스리라차핫 칠리소스(아띠인터내셔널), 스리라차핫칠리소스 등 4개 제품은 영양성분 정보가 표시돼 있지 않았다.

당류 함량은 저당을 광고하는 4개 제품과 당류가 불검출된 1개 제품을 제외한 15개 제품 중 100g당 최저 0.1g(타바스코페퍼소스·오뚜기)에서 최고 35.3g(데일리 핫칠리소스·이마트)로 나타났다.

WHO의 당류 일일 권장 섭취랑은 성인 기준 50g이다.

저당 제품을 광고하는 4개 제품은 당류 함량이 100g당 0.8g부터 2.4g으로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다. 소비자원은 “업계들이 점차적으로 당류 함량을 줄이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전 제품은 대장균군과 타르색소, 보존료 등을 검사한 결과 불검출되거나 적합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소스류 산성도(pH) 농도 수준을 확인한 결과 전체적으로 산성에서 약산성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저 2.84(진돗개핫소스)에서 최고 5.17(만능 마라소스)이었으며 가장 낮은 수치인 2.84는 식초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가격을 보면 단위당(100g 또는 100㎖) 가격이 가장 낮은 제품은 677원/100g(데일리 핫칠리 소스)이고 가장 높은 제품 5987원/100㎖(타바스코페퍼소스)으로 나타나 최대 8.8배였다.

알레르기 관련 주의 문가 표시가 없는 4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유발물질이 함유돼 있지 않았다.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은 “제품마다 매운맛의 함량 차이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매운맛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해 줄 것을 (업체들에) 요구·노력하고 있다”며 “최근 저당 및 저칼로리를 광고하는 제품들도 출시돼 당 섭취가 우려되는 소비자는 영양성분 표시를 살펴 당류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소비자연맹 관계자가 1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시중에 판매되는 매운맛 소스 국내 11개 제품과 수입 9개 제품에 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