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균기자가 만난 사람] ‘성실 아이콘’ 문경준 “골프는 ‘영원한 동반자’”

정대균 2024. 4. 17. 16: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테니스 선수 생활
대학 진학해 골프 입문한 뒤 프로 길 걸어
스트리커·랑거처럼 롱런하는 선수가 목표
불혹을 넘긴 적잖은 나이에도 어린 후배 선수들과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귀감이 되고 있는 문경준. KPGA


보면 볼수록 반듯하고 듬직하다. 그래서일까. 그의 이름 앞에는 ‘성실의 아이콘’이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 다닌다. 한국 남자 골프의 대표적 ‘모범생’ 문경준(41·NH농협은행)이다. 그는 불혹의 나이를 넘겼음에도 여전히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경준은 대표적 늦깎이 골퍼다.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테니스 선수 활동을 하다 그만두고 2년간 입시 준비를 해 대학에 진학한 뒤 골프와 운명적 만남을 했다. 골프 선수가 되려고 시작한 건 아니었다. 운동을 워낙 좋아해 취미로 시작했다.

하다 보니까 골프가 재미있었다. 게다가 느는 속도마저 엄청 빨랐다. 2004년에 KPGA 정회원이 됐다. 2년 뒤인 2006년에는 투어 데뷔에도 성공했다. 하지만 노력 없이 거저 얻어진 건 없다. 문경준도 예외는 아니었다. 남다른 운동 신경으로 골프 발전 속도가 다소 빠르긴 했어도 흘린 땀방울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문경준은 “테니스를 했던 게 여러 면에서 도움이 됐다. 안되면 될 때까지 연습했다. 골프장(스카이72) 연습생 시절에는 근력을 키우기 위해 캐디백을 내리면서 손님 몰래 백을 들고 스쿼드를 했다. 시간이 많지 않아 그렇게 짬짬이 체력 운동을 했었다”고 회고했다.

스윙과 체력훈련에만 매진한 게 아니었다. 테니스보다 정적인 운동이어서 골프를 하면 할수록 긴장이 더 됐다. 그래서 심리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분명 여타 프로 골프들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었다.

문경준은 “프로가 되기 전에도 서울대에서 개최한 심리학 세미나에 참석했을 만큼 멘탈에 관심을 가졌다. 그런 노력으로 프로가 됐고 시드전도 빨리 통과했다”며 “그때 가졌던 골프에 대한 마음가짐과 자세는 지금도 그대로다”고 했다.

올해로 투어 18년 차가 되는 문경준의 KPGA투어 통산 승수는 2승이다. 박상현(41·동아제약), 최진호(40·코웰) 등 정상급 또래 선수들에 비하면 우승이 많지는 않다. 화려함은 분명 덜하다. 하지만 꾸준함 만큼은 누구와 견줘도 절대 뒤지지 않는다.

그는 그 원동력으로 쉼 없는 공부를 꼽았다. 문경준은 “처음 프로가 됐을 때 목표했던 것은 어느 정도 이뤘다. 지금은 새로운 목표를 향해 도전하고 있다”라며 “2019년 제네시스 대상 수상으로 PGA투어, 유러피언투어 등 선진 투어를 경험하면서 많이 부족하다는 걸 깨닫게 됐다”고 했다.

그는 “그래서 지금도 계속 공부한다. 남들보다 창의적이고 꾸준하게 하는 것은 있지만 늦게 시작한 만큼 기본기가 다소 부족하다”라며 “그래서 아주 쉬운 것에서 실수를 한다. 그러면 다시 배우는 자세로 연습한다. 아직도 그런 과정의 연속이다”고 자신이 꾸준한 활동을 하는 원동력을 설명했다.

올해로 5년째 염동훈 프로의 지도를 받고 있는 문경준은 3년 전에 엘보 수술을 받았다. 그래서 그 이후로는 샷 연습량은 이전보다 줄이고 운동량을 늘리고 있다. 문경준은 “거리나 샷은 뒤처지지 않는다. 마음먹고 치면 멀리 가고 샷도 원하는 대로 간다”면서 “너무 많은 정보를 입력하면 오히려 방해된다. 멘탈적으로 좀 더 심플해져야 한다. 그래서 멘탈 공부도 꾸준히 하고 있다”고 했다.

문경준은 타이거 우즈(미국)를 알고 나서 골프를 시작했다. 멋이 있어서였다. 하지만 정작 닮고 싶은 선수는 스티브 스트리커(미국)다. 강하지도, 화려하지도 않지만 묵묵히 선수생활을 잘하고 있어서다. 한 마디로 자신과 닮아서다. 최근 무릎 수술을 받은 ‘시니어 최강’ 베른하르트 랑거(독일)도 닮고 싶은 선수 중 한 명이다. 앞으로 7년 후에 챔피언스투어에 가면 랑거처럼 롱런하고 싶은 바람 때문이다.

문경준은 최근에 3년 한시적 계획으로 말레이시아 조호바루로 이주했다. 세 아들을 위해서였다. 그는 “아이들이 어려서 마음껏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했다”면서 “조호바루는 모든 스포츠 활동을 야외에서 마음껏 할 수 있는 곳이다. 아이들도 좋아한다. 나도 아시안투어 활동하기가 편하다. 내년에는 돌아올 예정이다”고 말했다.

그는 후배들에게 바람이 하나 있다. 자신들의 권익에 좀 더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것이다. 연금제도 확립이 좋은 교훈이다. 문경준은 “일부 고참 선수들이 선수회를 통해 목소리를 내면서 연금제가 제대로 틀을 잡게 됐다”라며 “이 제도를 통해 가장 많은 혜택을 받는 건 젊은 선수들이다”고 했다.

그는 이어 “150명의 투어 프로 중 우승하고 싶지 않은 선수는 한 명도 없을 것이다”면서 “149명의 선수가 있으니까 우승자가 돋보이는 것이다. 젊은 선수들이 그런 마인드를 갖고 스스로의 권익에 대한 관심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도 수시로 냈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주말 골퍼를 위한 꿀팁도 남겼다. 문경준은 “우리나라 골퍼들은 스코어에 집착하는 경향이 크다. 좋은 스코어를 내기 위해서는 혼자서는 더디다. 조금씩 레슨을 받아 가면서 하면 골프가 훨씬 더 재미있을 것이다. 하나씩 나아질 때 성취감도 생긴다”면서 “기술적으로는 자꾸 손으로 치거나 손목을 과도하게 쓰는 경우가 많다. 그보다는 몸통을 회전해 치면 골프가 좀 더 쉬워질 것”이라고 했다.

‘문경준에게 있어 골프는 뭐냐’는 질문을 던져 보았다. “영원히 함께할 동반자”라는 답이 돌아왔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은 약간 정체돼 있다. 이럴 때일수록 버티는 게 상책이라고 하더라. 그래서 지금도 잘하고 있으니 좀 더 참고 버텨 보라고 스스로를 다독이고 있다”라며 “개막전이 열린 라비에벨CC도 올해가 처음이었다. ‘춘천가서 맛있는 닭갈비 먹어야지’라는 마음이었다. 그런 소소한 재미를 찾으려고 한다”고 했다.

물론 쉽지는 않다. 그는 “남들한테 얘기할 때는 해결책을 다 알고 있는 듯 말하면서도 정작 나한테는 뭐가 문제인지 모른다. 그러면서 혼자 막 파고든다”라며 “개막전 3라운드 때 엄청 부진하고 나서 많은 생각을 했다. 결론은 ‘내려놓자’였다”고 귀띔했다.

그 효과 때문이었을까. 문경준은 마지막 날 전성기와 같은 경기력으로 7언더파를 몰아치는 무서운 뒷심을 발휘했다. 올 상반기에는 KPGA투어에 전념할 예정인 문경준은 18일 개막한 시즌 두 번째 대회 KPGA파운더스컵 with 한맥CC에서 통산 세 번째 우승에 도전한다. 그 귀추가 주목된다.

정대균 골프선임기자 golf5601@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