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시험기간, 'ADHD 약' 써볼까 고민한다면

신은진 기자 2024. 4. 11.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고등학생 중간고사 기간이 가까워지면서 집중력을 높일 목적으로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치료제 복용을 고민하는 학생과 보호자들이 또다시 늘고 있다.

시험기간만 되면 관심이 치솟는 ADHD 치료제는 환자가 아닌 사람이 복용하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심각한 부작용을 얻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DHD 치료제 오남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중·고등학생 중간고사 기간이 가까워지면서 집중력을 높일 목적으로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치료제 복용을 고민하는 학생과 보호자들이 또다시 늘고 있다. 시험기간만 되면 관심이 치솟는 ADHD 치료제는 환자가 아닌 사람이 복용하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심각한 부작용을 얻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ADHD 치료제로는 ▲메틸페니데이트 ▲클로니딘 ▲아토목세틴이 있는데, 세 종류 모두 환자가 아닌 일반인이 복용했을 때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한다. ADHD 치료제로 가장 흔하게 처방되는 메틸페니데이트의 경우, 두통, 불안감, 환각, 망상, 공격성, 자살시도 등 각종 정신과적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장애나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 생길 수도 있다. 식약처는 올해 초 메틸페니데이트의 신경계 이상반응에 '운동 및 언어 틱'과 '안압 상승 및 녹내장'을 추가했다. 운동틱은 눈을 계속 깜빡거리거나 입을 이리저리 움직이는 등 특정 근육이 움직이는 상태를, 음성틱은 소리를 반복적으로 내는 걸 말한다.

클로니딘의 경우, 피로, 두통, 어지럼증, 혈압· 심박동 수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아토목세틴은 두통, 불면, 졸림, 다한증, 구강 건조, 오심, 식욕부진, 복통, 구토, 변비, 발기부전 등이 흔하게 나타난다.

단, 이 약들이 진짜 ADHD 환자에겐 매우 유용한 약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ADHD는 약물치료 반응률이 80%에 이를 정도로 약물 치료효과가 매우 좋은 질환이다.

ADHD 환자라면 부작용이 발생하더라도 함부로 약을 중단해선 안 된다. ADHD 환자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치료제를 처방받았더라도 식욕부진, 불면증, 두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부작용이 생기면 의사와 상의해 약물 용량이나 투약 시간을 조절해 부작용을 줄여나가야 한다. 부작용이 생겼다고 해서 바로 끊으면 더 심한 부작용을 겪거나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