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훈의 빌런 유니버스, 난공불락 [D:PICK]

류지윤 2024. 4. 11. 06: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신의 이름 대신 작품 속 캐릭터명으로 각인 될 때 배우들은 쾌감을 느낀다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은 '더 글로리'와 '눈물의 여왕'도 빌런이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캐릭터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다면 전혀 다른 성질의 악역으로 박성훈의 연기 디테일을 찾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광기 어린 캐릭터도 연기력으로 개연성을 만들어버리는 그의 능력이 '박성훈의 빌런 유니버스'를 바라게 만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눈물의 여왕' 윤은성 역으로 인기

자신의 이름 대신 작품 속 캐릭터명으로 각인 될 때 배우들은 쾌감을 느낀다고 한다. 그만큼 자신의 연기가 대중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으며, 가상의 이야기를 땅에 붙인 현실감으로 설득력을 얻어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현재 영화와 드라마를 막론하고 자신의 이름보다 캐릭터명으로 가장 자주 불리는 배우는 배우는 박성훈이 아닐까. 박성훈은 전작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전재준 역에 이어 tvN '눈물의 여왕' 윤은성까지 자신이 체화시킨악역 캐릭터로 지형도를 넓혀나가고 있다.

ⓒ데일리안 방규현 기자

사실 박성훈은 2018년 KBS2 주말드라마 '하나뿐인 내편'에서 순정남 장고래 역으로 본명보다 더 불린 시절이 있었다. 다시 한 번 자신의 존재감을 강하게 새기고 있는 현재 그 때와 전혀 다른 이미지라는 점이 그의 연기력과 잠재력을 확인 시킨다.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은 '더 글로리'와 '눈물의 여왕'도 빌런이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캐릭터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다면 전혀 다른 성질의 악역으로 박성훈의 연기 디테일을 찾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더 글로리' 전재준은 모태 금수저 출신으로 안하무인의 불도저 성격을 가진 인물이었지만 '눈물의 여왕' 윤은성은 어린 시절 엄마와 강제로 헤어져 고아의 삶을 살아내며 퀸즈그룹 회장 자리를 계획하고 재벌가를 함락시킨 철두철미한 캐릭터다. 또 사랑하는 해인(김지원 분)만을 바라보는 순정남의 면모도 가지고 있다. 비록 표현 방법이 틀렸지만, 어린시절의 외로움과 결핍이 윤은성의 DNA라는 걸 냉철한 면모와 함께 보여주고 있다.

악역 연기를 실감 나게 한다면 시청자들의 미움을 받을텐데 그의 연기가 밀도높아질 수록 시청자들은 오히려 환호하고 사랑을 보내고 있다. 광기 어린 캐릭터도 연기력으로 개연성을 만들어버리는 그의 능력이 '박성훈의 빌런 유니버스'를 바라게 만든다.

물론 박성훈이 악역 연기만 잘 하는 건 아니다. 박성훈은 데뷔 후 현재까지 총 50여 개의 작품에 출연했다.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질투의 화신', '매드독', '리치맨', '저스티스', '싸이코패스 다이어리', '출사표', '남남', '유괴의 날' 영화 '희수', '곤지암', '지옥만세' 등 필모그래피를 뜯어보면 꽤나 장르가 다채롭다.

쉬지 않고 달려오며 빌런 연기에서 포텐을 터뜨렸지만 어떤 역이라도 무리 없이 소화해 왔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KBS 드라마 스페셜 '나의 흑역사 오답노트'를 보면 지금과는 180도 다른 박성훈의 매력을 발견할 수 있어 추천한다.

영상매체가 만들어 낸 빛과 어둠 사이에서 그가 세공해 빚어낸 가상의 캐릭터들에게 자꾸만 마음이 가는 이유다.

올해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2'에 합류해 또 다른 얼굴을 보여줄 예정이다. 이번에는 또 어떤 캐릭터로 대중에게 말을 건넬지, 얼마나 또 실감나는 연기로 놀라게 할 지 기분 좋은 기대감으로 가득하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