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때 ‘이런 모습’ 보인다면… ‘파킨슨병’ 전조증상

전종보 기자 2024. 4. 5. 20: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파킨슨병은 뇌의 도파민 신경세포 소실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세포에 변성이 생기고 도파민을 합성·분비하는 뇌세포가 점차 줄어들면서 몸의 움직임에 이상이 생긴다. 퇴행성 신경계 뇌질환 중 알츠하이머 치매 다음으로 흔하며, 평균 발병 나이는 60대 중반~70대다.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파킨슨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적 요인이 원인이 되는 경우는 전체 환자의 10% 미만이다. 대부분 환자는 가족력이나 뚜렷한 유전자 이상 없이 파킨슨병이 발생한다.

파킨슨병은 조금씩,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언제부터 병이 시작됐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주요 증상으로는 서동, 떨림, 근육 강직 등이 있다.

서동은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는 증상을 말한다. 서서히 진행되다보니 환자 자신이나 보호자들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서동이 심해지면 몸을 움직이기 어려워지며, 중심을 잡지 못하거나 보행장애, 얼굴 표정 감소 등도 동반된다.

떨림은 환자가 몸에 힘을 빼고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 자발적으로 운동하면 없어지거나 감소한다. 보통 한쪽 손에 먼저 나타나고, 손으로 동전을 세는 듯한 떨림을 보인다. 다만 모든 파킨슨병 환자가 떨림 증상을 겪는 건 아니다.

강직은 근육이 뻣뻣해지는 증상이다. 팔을 펴려고 할 때 일부러 안 펼치려고 힘을 주는 듯한 느낌과 유사하다. 팔을 굽히면 파이프를 굽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고, 천천히 굽혀보면 톱니바퀴를 돌리는 것처럼 규칙적으로 저항감을 느끼기도 한다. 이를 ‘톱니바퀴성 강직’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보행 동결, 배뇨 장애, 변비, 성 기능 이상, 기립성 저혈압, 후각 소실, 정서적 장애, 수면 장애, 인지기능 장애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파킨슨병은 이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기 몇 년 전부터 전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잘 때 심한 잠꼬대를 한다거나, 우울감, 후각 저하, 변비 등을 호소하는 식이다. 걸음걸이와 자세가 변하고 얼굴이 무표정해지기도 한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김한준 교수는 “초기에는 어깨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며 “글씨를 쓸 때 글자 크기가 점차 작아지거나 말할 때 목소리가 작아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병원에서는 병력 청취와 신경학적 진찰을 통해 파킨슨병 증상 여부를 판단하고 진단한다. 파킨슨병은 뇌질환임에도 뇌 MRI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게 특징이다. 진단보다는 파킨슨병과 유사한 다른 질환인지 확인하기 위해 MRI를 시행한다. ‘베타 CIT’라는 특수 방사성 물질을 이용한 PET 검사(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를 실시하면 도파민 신경세포의 소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파킨슨병은 뇌에 도파민이 부족해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도파민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약물을 사용하거나, 복용 후 뇌에서 대사 과정을 거쳐 도파민이 되는 ‘레보도파’ 성분 약을 사용한다. 다만 레보도파 복용 환자 10명 중 4명은 4~5년 후 약효가 유지되지 않고 약 기운이 떨어지는 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물 농도가 높을 경우 자신도 모르게 몸이 움직여지거나 팔다리가 꼬이는 ‘레보도파 유발성 이상운동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김한준 교수는 “약효 소진 현상과 이상운동증은 환자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준다”며 “이런 현상들이 나타날 때는 담당 의사와 상의해 약을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약을 조절해도 약효 소진 현상과 이상운동증이 해결되지 않을 땐 ‘뇌심부자극술’을 고려할 수 있다. 뇌심부자극술은 미세한 전극을 뇌의 깊은 핵 부위에 위치시켜 신경세포들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약효 소진 현상과 이상운동증이 감소할 뿐 아니라 파킨슨병 약 용량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김 교수는 “도파민 신경세포를 다시 살려내거나 세포 소실을 중단·지연시키는 치료법은 없으나, 이런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며 “파킨슨병은 환자 상태에 따라 수시로 치료법을 바꿔야 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신경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하고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