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10…‘PK지역’ 판세 분석하니, 11곳만 국힘 우위, 15곳은 접전

이종선,김이현 2024. 3. 31. 18:1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10총선 공식 선거운동 둘째 날인 지난 29일 부산 사상구에서 더불어민주당 배재정 후보(왼쪽 사진)와 국민의힘 김대식 후보가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부산 사상 등 부산·울산·경남(PK)은 여당 텃밭으로 분류되지만,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상당수 지역구에서 오차범위 내 접전이 벌어지는 것으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울산·경남(PK)의 상당수 지역구에서 국민의힘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여론조사 결과,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PK지역은 전통적으로 국민의힘의 강세지역으로 분류되지만 ‘정부 심판론’이 확산되면서 혼전을 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총선이 다가올수록 보수층이 결집해 PK지역에서 국민의힘 우위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과 “특별한 반전 모멘텀이 없을 경우 민주당이 PK지역에서 예상외로 선전할 것”이라는 분석이 교차하고 있다.

국민일보는 4·10 총선이 10일 앞으로 다가온 시점(31일 기준)에서 PK 지역 40개 지역구 가운데 여론조사가 한 차례라도 시행된 31곳의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31곳 중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오차범위 밖에서 민주당 등 야당 후보를 앞지른 곳은 11곳으로 집계됐다. 15곳은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또는 진보당 등 야당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선 곳도 5곳으로 나타났다.

현재 민주당은 PK지역에서 7석을 갖고 있다. 부산·경남에서 각각 3석, 울산이 1석이다. 그러나 ‘정부 심판론’이 힘을 받을 경우 이번 4·10 총선을 통해 민주당의 PK지역 의석수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퍼지고 있다.

부산에서는 18개 지역구 중 수영을 제외한 17개 지역구에서 여론조사가 최소 한 차례 이상 치러졌다. 다만 지역구에 따라 판세가 요동을 치고 있다.

서·동, 부산진을, 동래, 해운대을, 사하을, 금정 등 6곳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민주당 후보들을 오차범위 밖에서 따돌리고 있다.

하지만 ‘낙동강 벨트’로 분류되는 부산 북갑과 사하갑에서는 국민의힘 후보들이 지역구 현역 의원인 민주당 후보들에게 오차범위 밖으로 밀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힘은 부산시장을 지낸 5선 중진의 서병수 후보를 북갑에 전략공천했지만, 한국일보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지난 24~26일 실시한 조사에서 서 후보(30%)는 전재수 민주당 후보(52%)에 오차범위 밖에서 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하갑 역시 KBS부산과 국제신문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1~24일 실시한 조사 결과, 이성권 국민의힘 후보(39%)가 현역인 최인호 민주당 후보(50%)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낙동강 벨트’에 속하는 북을, 강서, 사상에서도 오차범위 내 접전이 이어지고 있다.

연제에서도 당내 경선에서 현역을 누르고 공천장을 받은 김희정 국민의힘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인 노정현 진보당 후보를 상대로 고전하고 있다. 부산일보·부산MBC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18~1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는 38.3%로 노 후보(47.6%)에 오차범위 밖으로 밀리고 있다.

경남 16개 지역구 가운데 여론조사가 치러진 곳은 10곳이다. 이 가운데 국민의힘 후보가 오차범위 밖으로 앞서고 있는 곳은 사천·남해·하동, 진주을, 창원 마산회원 등 3곳에 불과했다.

경남에서도 두 곳(김해을과 창원 진해)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민주당 후보에 오차범위 밖에서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지역구 모두 국민의힘이 전략공천을 한 곳이다. 국민의힘은 김해을에는 밀양·의령·함안·창녕에서 3선을 한 조해진 후보를, 창원진해에는 조달청장 출신인 이종욱 후보를 각각 전략공천했다. 김해갑, 양산갑, 양산을 등 낙동강 벨트 지역에서도 오차범위 내 접전이 이어졌다.

울산에서는 전체 6개 지역구 중 4곳에서 여론조사가 한 번 이상 진행됐다. 이 가운데 남을과 울주 두 곳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오차범위 밖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북, 동 두 곳에서는 국민의힘 후보와 야권 후보의 오차범위 내 접전이 이어지고 있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이 같은 민심이 4·10 총선의 투표장까지 이어갈지 여부는 최대 관심사다. 전문가들의 전망도 미묘하게 엇갈린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외과 교수는 “PK지역은 젊은 세대나 이념적으로 진보적인 유권자가 상당수 존재해 결코 여권에 만만한 지역이 아니다”며 “특별한 상황이 없다면 오차범위 내 접전 지역 상당수도 국민의힘이 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민주당 지지층은 ‘정부 심판론’으로 결집하는 양상이 뚜렷하지만, 보수나 중도 표심은 결집하는 양상이 아직 보이지 않는다”면서 “‘낙동강 벨트’ 등 PK 접전지역의 표심이 선거 막판에 ‘그래도 국민의힘이 낫다’고 판단해 여권 쪽으로 뭉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이종선 김이현 기자 remember@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