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다래끼, 병원가서 짜야 할 때는?

이채리 기자 2024. 3. 31. 1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면역력이 떨어져 있거나 피곤하면 눈 다래끼가 생기곤 한다.

◇급성 세균감염 질환의 일종다래끼는 눈꺼풀에서 지질 분비를 조절하는 마이봄샘과 속눈썹 뿌리 부분에 있는 짜이스샘 등에 생긴 급성 세균감염 질환이다.

다래끼가 생기면 눈꺼풀이 뻐근해지고 빨갛게 붓는다.

다래끼 염증이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벼운 초기 단계라면 병원을 찾지 않아도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면역력이 떨어져 있거나 피곤하면 눈 다래끼가 생기곤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면역력이 떨어져 있거나 피곤하면 눈 다래끼가 생기곤 한다. 다래끼가 생기면 병원에서 짜는 시술을 받아야 할까 봐 겁먹는 사람이 적지 않다. 거슬리는 다래끼,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급성 세균감염 질환의 일종
다래끼는 눈꺼풀에서 지질 분비를 조절하는 마이봄샘과 속눈썹 뿌리 부분에 있는 짜이스샘 등에 생긴 급성 세균감염 질환이다. 다래끼가 생기면 눈꺼풀이 뻐근해지고 빨갛게 붓는다. 이물감이 느껴지면서 통증이 발생하거나 눈꼬리 쪽에 거품처럼 하얀 눈곱이 생기기도 한다.

다래끼 염증이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벼운 초기 단계라면 병원을 찾지 않아도 된다. 온찜질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40~45도의 따뜻한 물에 손을 적시고 눈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지긋이 문지르는 마사지를 하면 좋다. 따뜻한 물 주머니로 15~30분씩 하루에 4~6회 정도 온찜질을 하는 것도 염증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만약 빨갛게 부은 부분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냉찜질을 잠깐 하는 것도 좋다.

◇혼자서 짜다간 고름 퍼져
염증을 악화시키는 술은 마시면 안 된다. 간혹 참지 못하고 스스로 염증을 짜는 경우가 있는데 다른 부위로 고름이 퍼질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게 좋다. 눈다래끼를 치료하지 않고 그냥 두면 농양(고름이 생기는 경우)으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노란 알갱이 같은 염증이 보인다면 안과를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도록 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항생제 안약을 넣거나 먹는 약을 처방한다. 염증이 생긴 부위를 째고 긁어내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드물다.

눈 다래끼는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만으로도 예방할 수 있다. 손으로 눈을 자주 비비지 말고 손을 자주 씻어 깨끗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타민이 풍부한 채소와 과일을 먹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 컨디션 저하를 막아 면역력을 기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