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전자, 세탁건조기·올레드 TV 이어 'AI 가전' 신경전

김형민 2024. 3. 26. 16: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일체형 세탁건조기와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시장 점유율을 두고 주주총회에서 신경전을 했다.

앞서선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자사 TV 신제품 론칭 기념행사에서 "77인치 이상 초대형(OLED)에서는 이미 경쟁사(LG전자) 점유율을 넘어섰다"고 발언하자, LG전자가 발끈하고 나서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판매량 홍보하며 'AI 가전=삼성'
조주완 "AI 가전의 시초는 LG 업(UP) 가전"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일체형 세탁건조기와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시장 점유율을 두고 주주총회에서 신경전을 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나 "인공지능(AI) 가전의 시초는 우리가 만들어낸 업(UP) 가전"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삼성전자가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판매량을 적극 홍보하며 'AI 가전=삼성' 공식을 확산한 것에 대해 응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 조주완 CEO가 26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 22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중장기 전략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도 지난 13일 'LG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콤보'의 예약 판매를 시작해, 다음 달 8일부터 순차 배송할 계획이다.

조 CEO는 "세탁기에 대한 제품 경쟁력은 LG전자가 가지고 있는 걸 여러분도 다 알 것"이라며 "시장 점유율이나 가격 프리미엄을 봐도 고객이 저희에게 기꺼이 프리미엄을 내면서 지불하고 있다는 걸 알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어 "세탁건조기의 경우 고객 입장에서 더 나은 기능이나 스펙보다는 고객이 더 훌륭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해서 더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해보자고 얘기했다"고 덧붙였다.

조 CEO는 AI와 관련해선 "실생활에 정말로 도움이 되고 AI가 나의 행동을 이해해주고 나의 감정까지 이해해주는 쪽으로 갈지 진화 과정을 지켜보면 될 것 같다"며 "공감 과정은 우리 제품에 하나씩 녹아 들어가면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앞서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 AI를 '공감지능'으로 재정의한 바 있다. LG전자는 이날 주총장에 'CES 2024'에서 공개한 AI 로봇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선보이기도 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사진=삼성전자 제공

주주총회에선 올레드 TV 시장 점유율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박형세 LG전자 HE사업본부장(사장)은 올레드 TV 사업의 차별화 전략에 대한 주주 질문에 "경쟁사(삼성전자)가 10년 동안 저희 올레드에 대해 많은 비방을 하고 안 하겠다고 그러다가 결국 들어왔는데, 저희는 이를 기회 요인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올레드 TV 시장에 10년 만에 재진출, 올해 제품 라인업을 대폭 확대한 가운데, 이를 견제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본부장은 "경쟁사의 진입으로 이제 전 업체가 올레드에 돌입하면서 시장 확대 측면에서 굉장히 도움이 된다"며 "우리가 제품 경쟁력 우위를 가져가면서 5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계속 유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LG올레드TV. 사진=LG전자 제공

앞서선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자사 TV 신제품 론칭 기념행사에서 "77인치 이상 초대형(OLED)에서는 이미 경쟁사(LG전자) 점유율을 넘어섰다"고 발언하자, LG전자가 발끈하고 나서기도 했다.

앞으로 양사의 신경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20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업 전략을 발표하며 자사의 AI 경쟁력을 부각한 바 있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은 "회사는 세계 최고의 온디바이스 AI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앞으로 삼성의 전 제품과 서비스에서 생성형 AI와 온디바이스 AI가 만들어가는 변화와 혁신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스마트폰, 웨어러블, 확장현실(XR) 등 모바일 제품 전반에 AI 적용을 확대하고 차세대 스크린 경험을 위해 AI 기반 화질 및 음질 고도화, 한차원 높은 개인화 콘텐츠 확대로 일반 가전제품을 지능형 홈 가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말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