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비데 매출 급증한다는데… 항문 건강 괜찮을까?

오상훈 기자 2024. 3. 25. 2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비데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비데 보조 기기를 만드는 미국 기업 투시(Tushy)의 매출도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800만달러(약 107억4000만원)였는데 2020년에는 4000만달러(약 537억원)로 뛰었다.

비데 매출이 급증한 배경에는 코로나 팬데믹 당시 미국 내 화장지 품귀 현상이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에서 비데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전세계에서 비데 보급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이다. 우리나라는 약 절반정도의 가구가 비데를 사용하는데 비데가 항문 건강에 좋지 않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다. 사실일까?

◇팬데믹 때 휴지 대란 겪고 비데 찾기 시작
24일(현지시간) 미국 CNN의 보도 내용에 따르면 팬데믹 기간, 미국 ‘비데킹닷컴’의 모든 비데가 매진되는 등 미국 내 비데 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했다. CNN은 미국의 비데 시장이 2020년 한 해 동안 2~3배 성장한 것으로 추산했다. 비데킹닷컴은 팬데믹 이후에도 자사 매출이 매년 최소 20%씩 증가했다고 밝혔다. 비데 보조 기기를 만드는 미국 기업 투시(Tushy)의 매출도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800만달러(약 107억4000만원)였는데 2020년에는 4000만달러(약 537억원)로 뛰었다.

비데 매출이 급증한 배경에는 코로나 팬데믹 당시 미국 내 화장지 품귀 현상이 있다. 미국인들은 당시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생필품인 화장지를 대량 구매해 비축하려고 했다. 화장지를 구하기 어려워지자 미국인들이 그 대안으로 비데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에는 비데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었다. CNN에 따르면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에 파견된 미군들은 성매매 업소에서 비데를 목격했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 비데는 성병 예방을 위한 용도를 가진 물건, 성매매 업소에서나 사용하는 도구로 간주됐다.

CNN은 “2020년 화장지 부족 사태를 계기로 미국인들은 자신을 청결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휴지 사용이 초래하는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도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비데 사용 후 건조만 잘 하면 OK
전세계에서 비데 보급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일본이다. 2019년 기준 약 80%의 가구가 비데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비데 보급률은 약 50%다. 비용, 취향, 그동안 휴지를 사용했던 습관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일부 사람들은 비데가 항문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 우려한다.

먼저 비데의 수압이 배변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설이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상식적인 수준을 벗어날 정도의 강한 수압이라면 괄약근에 손상을 줄 순 있겠으나 비데의 수압이 변실금 등 배변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근거나 보고는 없다. 비데를 하루에 두 번 이상 사용하면 항문소양증 위험이 커진다는 것 역시 사실이 아니다.

다만 비데 사용 후 항문을 제대로 건조하지 않을 경우 항문이 습해져 세균 번식이 일어날 수 있다. 세균 번식이 심해지면 항문에 염증이나 고름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항문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항문이 민감한 상태이기 때문에 비데 사용 후 항문 건조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건조 기능이 없는 비데를 사용하거나 건조할 시간이 없다면 휴지로 항문에 남아있는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한편, 비데는 구조적 특성상 물이 나오는 분사구에 이물질이 끼기 쉽다. 정수 필터 역시 자주 교환하지 않을 경우 비데 물에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사용량이나 수질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수 필터는 4~6개월마다 교환해야 한다. 비데를 사용할 때는 외관뿐 아니라 비데의 버튼 조작부에 있는 노즐 청소 버튼을 활용해 주기적으로 노즐을 청소해야 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