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진 영화만사]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과연 어떤 영화인가?

전형화 2024. 3. 21. 06: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월27일 개봉하는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대한 고민이 컸다. 이 영화가 좋은 영화인가 나쁜 영화인가,란 생각 때문이었다. 세상에 나쁜 영화는 없다. 그러니 이 질문은 잘못된 것이다. 

처음의 질문은 이렇게 바꿔야 할 것이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있는 작품인가 그렇지 않은 작품인가. 그런데 의미란 상대적인 법이니, 이 질문도 적절치 않아 보인다. 차라리 이 영화는 이렇게 선택지를 주는 게 나을 것이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학문적인 영화(예술영화)인가 오락을 주는 영화(대중영화)인가. 이건 다음 질문으로 확장되기도 할 것이다. 좋은 영화란 대체로 재미없는 영화인가.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가 좋은데 재미없는 영화인가. 과연 그런 경우인가. 

이 영화를 거론하는 데 부담스러운 점은 몇 가지가 있다. 첫째는 최근 일본 영화계에서 천재 감독 소리를 듣는 하마구치 류스케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그는 코로나19가 한창인 때인 2021년과 2022년에 ‘드라이브 마이 카’와 ‘우연과 상상’으로 돌풍을 일으켰다. 뛰어난 신진 세대 감독의 새 작품을 두고 뭐라 하기에 주저하게 된다. 두 번째로는 이 영화가 지난 해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받은 작품이라는 것이다. 어떤 중견 평론가의 말마따나 베니스는 베니스다. 괜히 이 영화에 주요 부문 상을 줬을 리가 만무하다는 것이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도쿄 근교 한 산골 마을이 배경이다. 우리로 치면 가평 같은 곳 정도일 것이다. 이 마을에서 일종의 가이드 겸 산림 관리자인 타쿠미(오미카 히토시)의 일상은 극히 단조롭지만 그에겐 그 단순한 생활 리듬이 매우 중요하다. 그는 초등학생 딸 아이를 혼자 키우며 살아 가는데 종종 산에서 노동을 하다가 딸을 데리러 가는 걸 깜박하고 만다. 딸 하나(니시카와 료)는 그런 아빠의 습성을 잘 알고 있으며 조숙한 마음으로 잘 이해하고 있기까지 해서 종종, 아니 자주, 혼자서 산길을 걸어 아빠와 사는 오두막으로 돌아 오곤 한다. 시골에 사는 아이들은 산길을 혼자 오가는 것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일상에 이상한 균열이 생기면서 타쿠미 부녀의 삶은 부서진다.

줄거리를 요약한 걸 다시 되짚어 읽어 보니 이 영화가 꽤나 흥미로워 보인다. 서사가 지루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 남자 타쿠미의 일상을 지켜보는 건 섬찟할 만큼 지루하기가 짝이 없다. 오프닝 부분에서는 그가 산에서 이어지는 작은 천(川)에 앉아 오랫동안 식수를 뜨는 장면이 한참 동안 이어진다. 물 뜨는 장면은 심지어 롱 테이크다. 오두막 바깥에서 장작을 패는 장면도 매우 길게 이어진다. 장작 패기도 롱 테이크다. 그래서 이 영화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에는 신이 그렇게 많지가 않다. 한 신 한 신이 정말 길기 때문이다. 

도쿄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한 회사(사실은 연예기획사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지방 야외에서 사업을 기획하면 정부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것을 이용하려 한다)의 글램핑장 건설 사업 설명회는 그래도 견딜만 하다. 타쿠미와 마을 사람들은 20분 가까이 정화조 시설을 어디에, 몇 개를 만들어야 하는 가를 두고 논쟁을 벌이지만 이 롱 테이크는 오히려 흥미롭다. 마치 켄 로치 감독이 만든 ‘랜드 앤 프리덤’에서 농민들의 사상투쟁을 담은 롱 테이크 장면을 연상시키기까지 한다.    

하마구치 류스케는 이 영화를 통해 악은 (겉으로) 존재하지 않는 척 사실은 저 깊숙이 숨어 있는 것이며 갑자기 튀어 나오는 것인데, 그때는 거의 절대로 통제하지 못하는 지경이 된다는 점을 보여주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 이 영화는 제목과 달리 인간에게 악은 존재하지 ‘않지 않은’ 것, 곧 존재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하마구치의 그 같은 생각과 철학에 깊이 동의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그가 이번에 ‘감행’한 스토리텔링 방식에는 동의하지 않거나 이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영화가 좋은 점, 가장 긍정적일 수 있는 점은 영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무조건적으로 주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화를 보는 방식은 다 다르고 영화에 대한 의견은 대립하기 보다 공유되고 나뉘어지기가 쉽다.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대해서는 다른 생각들이 많이 개입될 것이다. 그래서 충분히 논쟁이 이어질 것이다.

그렇다면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대한 질문은 이렇게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 영화는 논쟁적인 영화인가 논쟁적이지 않은 영화인가. 답은 이미 말한 바 있다.

오동진 영화평론가
오동진 영화평론가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