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돈? 가구 소득 높을수록 ‘행복하고 사회적 지위 높다’ 생각

류승현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wkzl23@naver.com) 2024. 3. 19. 1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1일 오전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우리 국민은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더 행복하고, 자신의 사회적 지위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책연구원인 한국행정연구원은 19일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공개했다. 사회의 통합 수준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행정연구원이 매년 실시하는 해당 조사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지난 2023년 9~10월 전국 19세 이상 8221명을 대상으로 면접 등을 통해 조사했다.

우리 국민의 주관적 행복감은 10점 만점에서 평균 6.7점을 기록했다. 이는 3년(2021~2023년)째 동일한 수준이다. 삶에 대한 만족도(6.4점)와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정도(6.2점)는 지난 2022년보다 하락했으나 평균 6점 이상으로 보통(5점)을 넘었다.

걱정은 평균 3.6점에서 3.4점으로, 우울은 평균 3점에서 2.8점으로 소폭 하락했다.

행복감은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월 가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 행복감은 6.1점이었으나, 500만~600만원은 6.9점, 600만원 이상은 6.8점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런 양상은 지난 2021년, 2022년에도 비슷했으나 2023년은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가 0.8점으로, 2022년(0.6점) 대비 소폭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9~29세, 30대, 40대는 6.8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60세 이상의 경우 6.5점으로 약간 감소했다.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또한 가구 소득의 영향을 받았다. 월 가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점수는 4.8점이었으나 600만원 이상일 경우 5.7점으로 1점 가까이 높았다.

남성(5.6점)보다 여성(5.5점)의 사회적 지위 인식 수준이 약간 낮은 현상은 3년째 유지됐다. 경제 활동이 활발한 40대와 50대의 사회적 지위 인식 수준은 5.7점인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5.3점으로 하락했다.

자신보다 자녀가 노력에 의해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상승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경향은 2013년 조사 시작 이래 꾸준히 유지됐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