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비만이라고?" 성인 70%, 본인 체질량지수(BMI) 모른다

신은진 기자 2024. 3. 19. 14: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 70% 이상은 본인의 BMI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성인의 70% 이상은 비만 관리의 기준이 되는 체질량지수(BMI(kg/㎡))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비만의 날(3월 4일)을 맞아 대한비만학회가 감수하고 노보 노디스크가 실시한 비만 및 BMI 인식조사’에 따르면,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 중 26.3%는 비만(BMI≥25kg/㎡)으로, 20.2%(203명)는 비만 전단계(BMI 23~24.9 kg/㎡)로, 전체 응답자의 46.4%가 비만 또는 비만 전단계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1000명 중 본인의 BMI를 모르는 사람은 10명 중 7명 이상(70.5%, 705명)이었다. 실제, BMI 25(kg/㎡) 이상으로 ‘비만’인 사람이 자신의 BMI를 모르는 비율도 70.7%(263명 중 185명)에 달했다.

◇대부분 국가건강검진 통해 비만율 인지

BMI는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대한비만학회는 BMI 23~24.9(kg/㎡)를 ‘비만 전단계’, BMI 25(kg/㎡)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한다. 체내 축적된 지방량을 통해 비만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실제 지방량 측정에 대한 어려움이 있어 BMI를 통한 간접적 평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BMI는 비만과 건강관리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이지만, 이번 조사에서 본인의 BMI를 아는 사람은 10명 중 3명 이하(29.5%, 295명)에 그쳤다. 응답자가 본인의 BMI를 알게 된 경로는 국가건강검진이 34.9%로 가장 많았으며(295명 중 약 103명),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해당 비율은 증가했다. 특히, 5060세대에서 국가건강검진으로 본인의 BMI를 인지한 비율이 높았다(50대 46.3%, 25명, 60대 47.7%, 20명).

저조한 BMI 인지율과 대조적으로,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는 인식은 대다수를 차지했다(88%, 888명).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는 인식은 성별, 연령대, BMI 인지 여부 등과 상관없이 높았으나, BMI 비인지자보다 인지자에서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90.5%(295명 중 266명)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비만으로 인한 동반 질환이 심각하다는 인식도 강했다. 특히 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0% 이상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비만 유병률∙사회경제적 손실 지속 증가

대한비만학회의 최신 ‘비만 팩트시트(2023 Obesity Fact Sheet)’에 따르면, 2012~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일반건강검진 자료를 분석했을 때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지난 10년간 한 번의 감소도 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비만 유병률은 2012년 30.2%, 2016년 33.3%, 2021년 38.4%였다.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13조 8528억원에 달한다(2019년 기준). 지난 10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했다(2009년 약 5조 1000억원). 음주, 흡연 등 다른 건강위험요인과 비교할 때,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손실 증가가 가장 빠르다.

비만은 비만 자체로도 사회경제적 부담이 높은 질병이지만, 고혈압,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등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비만한 사람은 비만하지 않은 사람보다 당뇨병은 5~13배, 고혈압은 2.5~4배, 관상동맥질환은 1.5~2배 발생 위험이 크다.

대한비만학회 박철영 이사장은 "이번 조사는 비만 유병률과 사회경제적 부담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과 BMI에 대한 인식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기획됐다"며 "조사 결과, 본인의 BMI를 아는 사람이 10명 중 3명도 되지 않았다"고 했다. 박 이사장은 "효율적 비만 치료와 관리 등을 위해 BMI 인지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현재 국가건강검진에서 BMI 25~29.9(kg/㎡)를 과체중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BMI 25(kg/㎡) 이상부터 비만으로 분류, 관리할 것을 제안한다"며 "BMI 25~29.9(kg/㎡)는 기준 폭이 너무 넓어 이 기준으로는 비만 치료의 적기를 놓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가건강검진이 BMI 인지의 주요 경로임을 참고할 때, BMI에 대한 국가건강검진 체계에 대한 선제적이고 현실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