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160km’ 황소일 필요 있나…임찬규는 '개구리'답게 최강 타선 잠재웠다

차승윤 2024. 3. 19. 11: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메이저리그 월드투어 서울 시리즈 2024’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LG 트윈스의 경기. LG 선발 임찬규가 역투하고 있다. 고척돔=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개구리가 황소처럼 되어보겠다고 몸을 부풀리는 건 어리석은 일이다. 난 그냥 개구리처럼 던지려고 했다."

임찬규(32·LG 트윈스)는 빠른 공 투수가 아니다. 2011년 데뷔 때만 해도 150㎞/h 육박하는 강속구를 던졌다. 하지만 그후 구속이 감소했고, 오랜 시간 생존하기 위해 투쟁했다. 지난해 직구 평균 구속은 140.6㎞/h. 평범했다. KBO리그 타자들을 힘으로 잡아내기 어려웠다.

하지만 잡아냈다. 지난해 임찬규는 14승 3패 평균자책점 3.42를 기록했다. 국내 투수 중 가장 많은 승수였고 평균자책점도 준수했다. 150㎞/h 중반대 강속구를 자랑하는 곽빈(두산 베어스) 문동주(한화 이글스) 이의리(KIA 타이거즈) 등과 비교해도 전혀 뒤처지지 않는 성적표였다.

메이저리그(MLB) 타자들을 상대로도 마찬가지였다. 임찬규는 18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스페셜 매치에서 LG 선발 투수로 마운드에 올랐다. 쟁쟁한 빅리그 타자들에게 임찬규의 공은 '패스트볼'이라 부르기도 민망할 정도로 느렸다. 같은 날 샌디에이고 선발 딜런 시즈의 슬라이더 평균 구속이 139㎞/h로 임찬규 직구 구속에 버금갔다. 시즈가 그날 찍은 직구 최고 구속은 157㎞/h. 임찬규는 단 한 번도 던져보지 못한 속도다. 같은 날 LA 다저스 선발로 나선 바비 밀러는 아예 최고 구속 161㎞/h를 찍었다. 밀러는 체인지업 평균 구속이 142㎞/h에 달했다.

한국에서 사상 최초로 열리는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개막전을 앞두고 18일 오후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LG 트윈스가 스페셜매치를 펼쳤다. LG 선발 임찬규가 1회를 연속삼진으로 끝내고 들어가고있다. 고척돔=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그런 투수들을 상대하던 타자들이 임찬규의 공에 당했다. 난타당할 수 있다는 우려와 달리 임찬규는 5이닝 동안 2실점으로 샌디에이고 타선을 요리했다. 탈삼진이 무려 7개에 달했다. 특히 샌디에이고가 자랑하는 1번 타자 잰더 보가츠, 2번 타자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 3번 타자 제이크 크로넨워스를 상대로 3연속 탈삼진을 기록했다. 보가츠와 타티스 주니어는 모두 실버슬러거를 수상해 본 리그 대표 강타자였지만, 임찬규의 체인지업을 공략하지 못하고 허무하게 돌아갔다.

빠른 공을 던질 수 없던 임찬규는 느린 공, 그리고 더 느린 공으로 빅리그 거포들을 잡아냈다. 체인지업은 평균 110㎞/h였고 커브는 최저 94㎞/h까지 기록했다. 임찬규를 선발로 내정한 후 "샌디에이고 타자들이 찬규 커브를 보면 (느려서) 미칠 거다. 그러다 직구를 던지면 155㎞/h처럼 느껴질 것”이라고 말하 그대로였다.

아무리 타이밍을 뺏을 수 있어도, 느린 투수가 느린 구속만 믿고 던질리 없다. 임찬규는 그 느린 공이 통할 수 있게 한 건 제구였다.

18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메이저리그 월드투어 서울 시리즈 2024’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LG 트윈스의 경기. LG 선발 임찬규가 역투하고 있다. 고척돔=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경기 후 임찬규는 "최고 타자들인 만큼 실투를 던지지 않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체인지업을 던졌다. 타자들이 내 공이 생소해 잘 못 친 것 같다"고 전했다.

임찬규의 유일한 실점은 실투로 나왔다. 그는 "2회 초 김하성에게 홈런을 맞은 건 실투였다. 역시 MLB 타자 상대로는 실투를 조심해야 한다고 새삼 다시 느꼈다"며 "그 이후 더 정교하게 핀포인트로 제구해 던지려고 했다. 그게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했다.

임찬규는 "개구리가 황소처럼 되어보겠다고 몸을 부풀리는 건 어리석은 일이다. 난 그냥 개구리처럼 던지려고 했다"고 했다. 150㎞/h, 160㎞/h를 던지려는 투수들처럼 똑같이 던져봐야 경쟁력이 없다는 걸, 임찬규 스스로 잘 알고 있다는 뜻이다.

자신을 아는 개구리는 누구보다 무서웠다. 이틀 동안 수많은 한국 강속구 투수들이 등판했다. 신인 김택연(두산 베어스)은 직구 구위로 미국 기자와 팬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곽빈은 155㎞/h 강속구로 1년 만에 오타니 상대로 설욕에 성공했다. 모두 한국 야구의 미래를 비췄고, 한국산 '황소'가 될 자질을 증명했다. 하지만 그중 가장 많은 탈삼진을 잡은 건 개구리, 임찬규였다.

18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메이저리그 월드투어 서울 시리즈 2024’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LG 트윈스의 경기. LG 선발 임찬규가 역투하고 있다. 고척돔=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차승윤 기자 chasy99@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