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 입에 올린 ‘낙태 여전사’ 해리스…美부통령 평가는 갈렸다

김형구 2024. 3. 17. 14: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지난 14일(현지시간)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의 한 임신 중절 의료기관을 방문해 여성 보건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모두들 이제 (제가 발언할) 그 단어를 들을 준비를 해주세요.”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 있는 한 임신 중절 클리닉.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참석자들의 주의를 이렇게 모은 뒤 “자궁(Uterus)”이라고 말하자 여성 참석자들 사이에 가벼운 웃음이 터져나왔다. 정치인 입에서 좀처럼 듣기 힘든 단어가 여성 부통령 입에서 나오자 보이는 반응인 듯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여성 신체의 그 부분은 자궁 근종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많은 의료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며 “자궁 근종이 더 이상 금기시돼선 안 된다.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ㆍ부통령 중 낙태 의료기관 첫 방문


미국 대통령이나 부통령이 임신 중절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 이번이 처음이다.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지금 우리나라는 매우 심각한 보건 위기에 직면해 있다. 내가 여기에 온 이유”라며 자신의 몸에 대해 여성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강조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지난주 위스콘신ㆍ조지아ㆍ미시간ㆍ애리조나 등 스윙스테이트를 거쳐 이날 미네소타에서 ‘생식의 자유를 위한 투쟁’ 투어를 마무리하며 낙태 선택권을 위해 싸우는 여전사로 최선두에 섰다. 이날 해리스 부통령은 자신이 방문한 임신 중절 클리닉 밖에서 시위를 벌인 20여 명의 낙태 반대론자들을 두고 “극단주의자”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의 한 임신 중절 클리닉을 방문한 지난 14일(현지시간) 해당 클리닉 밖에서 일부 시민이 낙태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 언론에서는 부통령의 첫 임신 중절 클리닉 방문과 공개석상에서의 생식기 언급을 두고 “올 대선을 앞두고 낙태 이슈가 얼마나 논란이 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한 대목”(USA 투데이)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미네소타대에 재학 중인 페이지 로빈슨(22)은 “낙태 문제는 11월 대선 투표 때 고려할 핵심 이슈”라며 “해리스의 클리닉 방문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낙태권을 지지한다는 분명한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USA 투데이에 말했다.

민주당이 미 대선 최대 쟁점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여성 낙태권과 관련된 해리스 부통령 역할론과 맞물려서도 최근 그의 행보는 주목된다. 2022년 6월 보수 우위 연방 대법원이 여성의 임신 중절 권리를 인정한 ‘로 대 웨이드 판례’를 뒤집은 이후 보수 진영의 ‘Pro-Life(생명 중시)’와 진보 진영의 ‘Pro-Choice(결정권 중시)’ 간 대립 구도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여성의 선택권을 강조하며 전면에 나서고 있다.


대통령직 대신할 자격 ‘있다’ 38%, ‘없다’ 54%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개최한 형사사법 개혁 관련 원탁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다만 조 바이든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로서 해리스 부통령의 경쟁력을 두고는 평가가 엇갈린다. 지난 14일 발표된 USA 투데이와 서포크대 공동 여론조사에 따르면, 민주당원인 여성 유권자 사이에서 해리스 부통령 직무 긍정평가 비율은 78%에 달했다. 하지만 전체 응답자의 긍정평가 비율은 36%에 그쳤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평가 비율 41%보다 낮은 수치다.

특히 바이든이 대통령직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해리스 부통령이 그 자리를 대신할 수 있겠느냐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의 54%는 ‘그럴 자격이 없다’고 답해 ‘자격이 있다’(38%)는 사람보다 16%포인트 많았다. 서포크대 정치연구센터 데이비드 팔레올로고스 소장은 “바이든 대통령의 나이와 직무수행 능력을 둘러싼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해리스 부통령이 주목을 끌지 못하는 것은 중요한 대목”이라고 말했다. 11월 대선을 놓고 ‘역대급 비호감 대결’이라는 말이 벌써부터 나오는 가운데 부통령의 경쟁력이 승부의 관건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해리스 부통령의 저조한 지지율은 바이든 캠프로선 우려스러운 일이라는 얘기다.


“해리스, 여성 문제에 진정성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센트럴 고등학교를 방문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학교 소프트볼팀 관계자들을 만나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다만 ‘해리스 옹호론’을 펴는 시각도 적지 않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7일 국정연설에서 ‘낙태’(abortion)라는 말을 직접 쓰지 않고 ‘생식의 자유’ ‘선택의 자유’ 등 정치적으로 덜 민감한 표현을 쓴 것을 놓고 진보 진영 일각에서 불만이 나오지만 해리스 부통령이 이를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여성단체 ‘모두를 위한 생식의 자유’ 미니 팀마라주 대표는 “해리스는 여성 문제에 대해 진정성이 있으며 모든 여성이 공감하는 경험을 이야기하는 사람으로 차별화된다”며 “현 정부 들어 가장 많은 자유의 진전이 있었고 바이든에게 많은 존경과 애정을 갖고 있지만 해리스 부통령의 창끝이 없었다면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USA 투데이에 말했다.

워싱턴=김형구 특파원 kim.hyoungg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