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자 故유일한의 유지...30년 일한 직원에 퇴직금 8억

김지연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colorcore@naver.com) 2024. 3. 13. 14: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한양행, 직원 평균 근속기간 ‘12년 8개월’
30년 근속한 A 전 부장, 퇴직금 8억원 수령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유한양행이 30년 이상 근무하고 퇴직한 직원에게 8억여원의 퇴직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다.

유한양행이 지난 12일 공시한 2023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명예퇴직으로 회사를 떠난 A 전 부장은 지난해 보수로 총 10억1100만원을 지급받았다. 이는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의 연봉 10억8900만원에 버금가는 금액이자 6억2000만원 연봉을 받는 이병만 부사장보다 큰 규모다. A 전 부장은 임원이 아니지만, 보수지급액이 5억원 이상으로 상위 5명 안에 들면서 공시 대상에 포함돼 보수가 공개됐다.

A 전 부장이 이처럼 서울 아파트값에 맞먹는 많은 보수를 받은 것은 명예퇴직에 따른 퇴직금 때문이다. A 전 부장의 보수 지급 명세를 보면 ▲급여 1억1400만원 ▲상여 1500만원 ▲기타 근로소득 2500만원 ▲퇴직소득 8억5700만원 등이다.

특히 A 전 부장은 유한양행에서 약 30년 6개월 근무하며 장기근속했다. 여기에 명예퇴직에 따른 퇴직 위로금이 더해져 8억원이 넘는 퇴직금을 지급받았다. A 전 부장과 함께 퇴직한 3명의 전직 부장·과장도 각각 7억~8억원대 보수를 받았다. B 전 부장은 퇴직금으로 7억3300만원을 받았으며 C 전 부장은 7억1000만원, D 전 과장은 6억8700만원의 퇴직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근속기간이 28~32년에 달하는 장기근속 직원들이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퇴직금 지급 규정에 따른 기준임금과 근속기간 누진제, 임금피크제 기간을 감안한 퇴직금을 산정했다. 명예퇴직 실시에 따른 퇴직위로금을 포함해 퇴직금을 지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유한양행 제공)
한편 유한양행은 1926년 설립돼 98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현재 1948명의 직원이 재직 중이며 평균 급여액도 9600만원으로 높은 수준이다. 유한양행 근속 연수도 국내 제약사들 중 가장 긴 편이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유한양행 직원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12년 8개월로 집계됐다. 종근당(8년 3개월), 한미약품(8년 2개월), 대웅제약(6년 6개월), GC녹십자(9년 1개월) 등 다른 상위 제약사들과 비교해도 근속연수가 긴 편이다.

특히 유한양행은 오너 경영이 아닌 직원이 대표이사를 지내는 경영 문화를 갖는다. 故 유일한 박사는 전 재산을 유한재단에 환원하고 자식에게는 기업을 물려주지 않았다. 건전한 기업 활동으로 얻은 이윤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의미가 깊은 만큼 사회적 인식도 긍정적이다. 현재 유한양행 최대주주는 유한재단으로 15.81%를 보유 중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적지 않은 제약사들이 오너 경영에 있어 잡음이 있어왔고 이런 점이 대중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기도 했다”며 “그러나 유한은 일찍부터 주인 없는 회사라는 가치를 지켜오며 업계에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해왔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