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거점 정당' 표방한 개혁신당…당원 모집은 '지지부진'

김재은 2024. 3. 9. 07: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준석·이원욱 공동 정책 발표
전국적 지지율 제고 쉽지 않고,
연고 없이 지역·공약 전략은 한계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사진 오른쪽)가 4일 오후 동탄호수공원에서 총선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데일리안 김재은 기자

개혁신당이 지역 거점 정당으로써 특별한 공약을 통해 지역구 지지층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최근 경기 화성을에 출사표를 던진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용인갑·화성정에 출마하는 양향자 의원·이원욱 의원과 '반도체 벨트'를 구성해 교통과 교육에 대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지엽적인 유세로 인해 정작 전체적인 지지율이 떨어지는 부작용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다, 당원 모집에도 부진을 겪고 있어 우려를 낳는다.

이준석 대표와 이원욱 의원은 8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경기도 화성 공동공약을 발표했다. 화성에 출마하는 두 후보는 먼저 "수도권 남부 철도망의 핵심축을 동탄과 반월을 중심으로 완성하겠다"며 구체적인 교통 정책을 내놨다.

이 대표는 "3월말 수서역까지 개통 예정인 GTX-A의 삼성역까지 개통을 앞당기고 합리적 요금 설정을 위해 골라담는 정액제 카드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1호선 연장 확정에 이어 반도체 라인(구동탄~부발선) 추진을 통해 수도권남부 반도체벨트 교통망과 생활권 연결에 초석을 다지고 동인선과 동탄 트램 조기 개통으로 시민들이 빨라진 교통을 더 빨리 체감하도록 하겠다"고 교통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 "제4차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되어 있는 분당선 연장, 기흥-동탄테크노벨리-동탄호수공원 노선과 수도권 내륙선, 동탄~청주공항 광역철도 사업의 기재부 예비타당성 통과로 사업을 현실화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도 "GTX-C 서동탄역 차고지 출발역 신설과 서동탄역 1호선 열차 증편 및 대중교통 연결망 확충을 통해 H형으로 동서축과 남북축이 연결된 화성 동부권 철도이용 편익을 극대화하겠다"며 "1호선 연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솔빛나루역을 확정하고 임기 내 착공토록 하겠다"고 첨언했다.

이밖에 "메타역(가칭)을 비롯한 동인선 추가출구 설치를 적극 검토하고 도로와 버스 교통환경 개선으로 동탄과 반월 중심 사통팔달 진출은 물론 내부 순환 교통망 확충으로 교통 접근성을 향상시키겠다"고 확언했다.

이어 이들은 △기흥-남사-원삼-백암으로 이어지는 반도체고속도로 추진 △국지도 84호선 완공 및 국지도 82호선 확·포장사업 추진 △매송-동탄 고속화도로 조속 추진 △M버스 노선 신설·증차·순차(중간) 출발 확대 △동탄1신도시 화물차고지 조성 연내 완료 △남동탄 IC신설 △24시간 순환버스 도입 △무장애 똑버스 도입 및 증차 등의 공약도 소개했다.

수도권 위주의 정책을 펼치며 이같은 공동 공약 등을 통해 당의 존재감을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이와 관련 이준석 대표는 지난 6일 경기 화성을선관위를 찾아 후보등록을 마치며 "개혁신당이 반도체 벨트 내에 여러 가지 문제를 다루는 지역 거점 정당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이같은 지엽적인 유세로 인해 정작 전체적인 정당 지지율 제고 계기를 잡기 어려워지는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최근 개혁신당의 비례대표 정당투표 여론조사 결과는 지지부진하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4~5일 100% 무선 ARS 방식으로 4월 총선에서 비례대표 정당투표 의향을 물은 결과, 개혁신당을 고른 응답자는 5.8%에 그쳤다. 이는 저번 조사 결과(6.5%) 대비 0.7%p 하락한 수치다. 새로 등장한 조국신당(가칭, 현 조국혁신당)은 20.3%로 '제3지대'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게다가 최대 1년 간의 복당 불허 기간을 한시적으로 없애 새로운미래와의 합당 과정 등에서 이탈했던 당원들의 복귀를 기대했지만, 이 또한 원상복구 되지 못했다. 5만8000명에 육박했으나 최근 5만6000명대까지 떨어져 있는 상태다.

좀처럼 지지율이 오르지 않고 당원 회복세도 더뎌지는 상황이 장기화되면 개혁신당이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지역 거점 정당이라면 그 지역 주민들과 합의할 수 있는 정당이 돼야 하는데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와 화성은 큰 상관이 없다"며 "표를 의식한 정치적인 레토릭에 불과하고 지역 기반의 정책으로 승부수를 보려면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정당이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