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근로자 착취땐 납품중단"…대기업 40% 협력사 ESG 관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대기업 10곳 중 4곳이 중소협력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을 관리 감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협력사가 ESG를 위반하거나 평가등급이 낮을 땐 거래 중단 등 패널티를 부과하는 대기업도 많았다.
조사 결과 대·중견기업 75%는 자체 행동규범, 평가기준, 협력사 지원 등을 통해 공급망 ESG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기 ESG대응 미흡…"원청사 멘토링 필요"
국내 대기업 10곳 중 4곳이 중소협력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을 관리 감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협력사가 ESG를 위반하거나 평가등급이 낮을 땐 거래 중단 등 패널티를 부과하는 대기업도 많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6일 ‘2024년 대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보고서’를 내고 대기업 42%가 협력사의 ESG를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는 한국거래소 ESG포털에 보고서를 자율공시한 상장기업 148개사를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대·중견기업 75%는 자체 행동규범, 평가기준, 협력사 지원 등을 통해 공급망 ESG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협력사 평가(75.0%) △협력사 행동규범 보유(67.6%) △협력사 평가항목 보유(57.4%) △구매시스템에 반영(52.0%) 등 활동을 하고 있다.
협력사 평가에 따른 패널티를 적용하는 기업은 18.9%로 높지 않았지만 행동규범에 'ESG 평가 결과에 따른 페널티 부과조항'을 두고 있는 기업은 43.2%에 달했다.
삼성전자는 협력사가 이주근로자 채용수수료 관련 위반시 중대한 강제노동 위반으로 보고 위반이 지속되는 등 심각한 경우에는 거래중단까지 이를 수 있다고 규정했다. LG생활건강은 팜오일 생산과 관련 인권침해 이슈가 발생한 공급업체는 즉시 거래 중단을 명시했다.
중소기업의 ESG 대응 능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 회계법인이 발표한 설문에 따르면 자산규모 2조원 이상 기업은 ESG 공시 준비를 '매우 잘 하고 있다'는 응답률이 25%에 달했지만, 5000억원 미만 기업 중 '매우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에 불과했다. 또 30%는 ESG 공시를 '전혀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고, ESG 대응조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도 57%에 달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기업 ESG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사의 자체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공급망 ESG에 대해 가장 잘 아는 대중견 원청사의 멘토링과 실질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용순 (cys@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모주달력]공모가 비싸진 오상헬스케어…기관 락업 3% 불과
- "식판에 재미를 더했더니"…CJ프레시웨이, 학교급식 매출 '쑥쑥'
- [르포]개포동 리모델링 아파트 직접 보니 "필로티 없었다면…"
- 세계로 나아가는 네이버웹툰…'나스닥웹툰' 그릴까
- 화제의 '갤럭시 링', 이런 기능까지 담긴다고?
- '최초', '최고'의 향연…K배터리 3사 신기술 한데 모아보니
- 한국 배터리, 뒤늦게 LFP 진출 속도…승산 있을까
- 토스, 내년 상장 전망…올해는 '수익성' 보여줄까
- 삼성·마이크론, SK하이닉스 맹추격…이 메모리칩 뭐기에
- 알토스바이오, 망막혈관질환 특허 '독점적 지위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