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MBTI 유형별 양육방식 1편 [우애리의 ‘육아웹툰’④]

데스크 2024. 2. 29. 14: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때 혈액형을 물어보던 사람들이 이제는 서로의 MBTI를 묻는다. 사람들이 자신의 MBTI 유형을 즐겁게 공유하고, 일상에서 활용하고 있다는게 심리학자인 필자로써는 참 흥미롭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양육자의 MBTI 유형별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물론 MBTI가 양육자의 유형을 완전히 나타낸다고는 볼 수 없기에 재미있고 가볍게 참고할 것을 당부한다.

그림 서소민

MBTI는 이사벨 마이어스와 캐서린 브릭스가 1940년대에 개발했으며, 개인의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유형별로 세상을 바라보고 대처하는 방식을 설명해 주는 검사다. 과학적 근거의 부족과 결과의 변동성으로 때때로 비판받지만, 자기인식 개선과 관계에서의 행동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양육자는 MBTI 유형별로 각기 다른 양육 특성을 보인다. 이번 칼럼에서는 MBTI 유형별 양육 특성을 살펴보며, 각각이 어떻게 자신의 양육에 대한 통찰과 이해가 있도록 써보려 한다. 이번 칼럼은 MBTI 16개 유형 중 8개 유형에 대해 먼저 다루고자 한다.

첫 번째. ISTJ 모범생‧똑쟁이 부모.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양육 방식을 선호한다. 책임감이 강하고 일정한 규칙과 계획을 중요하게 여기며 부모로써 양육을 완벽하게 해내려는 특성이 있다. 완벽주의로 육아 스트레스를 받기 쉽다. 아이에게 잔소리가 많을 수 있고 다소 강한 방식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 아이가 자유로운 기질의 아이거나 감정적인 아이라면 갈등이 유발되기 쉽다.

두 번째, ISFJ 의무감과 책임감이 큰 부모. 따뜻하고 관대한 양육 스타일을 선호한다. 성실함과 부드러움으로 아이를 대하며 민감성이 높아 아이의 작은 변화나 행동에도 반응적인 양육을 하는 편이다. 강한 의무감과 희생정신이 있지만 자신을 돌보는 것에 소홀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노고를 다른 가족이 알아주지 않으면 쉽게 상처받을 수 있다.

세 번째, ISTP 모르는 게 없는 만능형 부모. 아이의 개별성을 존중해 주며 유연하고 관용적인 양육 방식을 선호한다. 자녀의 독립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존중하며 발전시킨다. 현실적이고 경험 중심적 학습을 지원하는 편이다. 아이의 정서적인 지지와 수용이 다소 약할 수 있고, 아이의 짜증이나 화를 못 견딘다. 자녀의 감정을 다루고 소통하는 부분의 노력이 필요하다.

네 번째, ISFP 거절 어렵고 여린 부모. 따뜻하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자녀를 돌본다. 개방적이고 융통성이 높다. 자녀의 창의성과 감성을 존중하며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아이에게 미술, 음악 등 예술 활동을 함께 즐기고 잘 가르친다. 그러나 자신을 돌보는데 취약하고 자녀에게 제한설정을 잘하지 못한다. 일관성이 부족하고 쉽게 죄책감에 빠질 수 있다.

다섯 번째, INFJ 섬세하고 따뜻한 부모. 이해심 있고 따뜻한 양육자. 자유롭고 지지적인 양육 방식을 선호한다. 자녀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며, 감성적이고 기록하는 걸 즐겨한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이 발생하면 쉽게 얼어붙고, 자녀들의 에너지 레벨에 맞춰 활동하는 것에 쉽게 지치기도 한다. 자녀의 피로도나 감정 상태에 따라 양육에서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조용한 혼자의 회복과 충전 시간이 필요하다.

여섯 번째, INTJ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부모. 분석적이고 논리적이기에 아이의 인지적 양육에 관심이 많다. 아이의 자립과 독립심을 키우는 데 집중하며 교육적 지도와 환경에 노력을 많이 한다. 그러나 아이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아 자주 실망을 느낄 수 있으며, 감정표현에 인색하여 다소 강압적이고 냉정한 모습을 갖기 쉽다. 아이의 모습을 그대로 수용하는 태도와 감정표현에 노력이 필요하다.

일곱 번째, INFP 배려와 도덕이 특징인 부모. 이해심 있고 지지적인 양육 태도를 갖고 있다. 아이에게 소중하고 행복한 기억을 주기 위해 노력하는 편이다. 자녀의 가치와 관심을 존중하며 성장을 지원한다. 그러나 체계적인 생활습관, 책임감에 대한 훈련, 일관적인 양육 태도를 갖기 어려우며 아이의 요구에 지나치게 허용적일 수 있다.

여덟 번째, INTP 침착하고 인내심이 높은 부모. 아이의 지적 호기심과 자유로운 탐구를 지지하며, 문제 해결 능력과 학습 능력을 발전에 관심이 많다. 아이의 주도성과 자발성을 존중하고 논리적인 대화를 즐긴다. 그러나 아이의 소란스러움이나 신체적 에너지엔 쉽게 지치는 경향이 있고, 지나치게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모습으로 감정적 공유가 어려울 수 있다. 아이에게 정서적 상태를 고려하고 지지와 격려와 같은 긍정적 표현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우애리 플레이올라 대표원장 playhola@naver.com

#아동심리#양육상담#플레이올라#우애리#양육스트레스#기질양육#기질검사#심리검사#강남심리상담#강남아동심리#압구정심리상담#아동심리#학습상담#서소민#학습검사#청담아동심리#리틀마인드#위그로우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