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에요’와 ‘예요’의 구분법

2024. 2. 29. 00: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 중 ‘에요’ 또는 ‘예요’와 관련해 바르지 않은 것은?

㉠ 내가 한 게 아니에요

㉡ 생각대로 잘될 거예요

㉢ 저 사람은 누구예요

㉣ 지금 어디에요

‘-에요’는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 또는 명사와 결합해 설명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말(종결어미)이다. 그러나 어떨 때는 ‘에요’가 되기도 하고 어떨 때는 ‘예요’가 되기도 해 헷갈린다.

㉠의 ‘아니에요’처럼 ‘-에요’가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과 결합할 경우에는 어간에 ‘에요’만 붙는다. 즉 ‘아니+에요→아니에요’가 된다.

그러나 ‘-에요’가 명사와 결합할 경우 명사를 서술어로 만들 때 쓰이는 조사 ‘이’가 추가된다. 즉 ‘책+이+에요→책이에요’처럼 명사에는 ‘이에요’가 붙는다. 받침이 없는 명사일 때는 ‘이에요’의 준말인 ‘예요’와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그래서 ‘저+예요→저예요’ 형태가 된다.

㉡의 ‘거예요’ 역시 이러한 예다.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거’가 명사이므로 ‘-에요’와 바로 결합하지 못하고 ‘이’가 추가돼 ‘거+이+에요’가 된다. 받침이 없는 ‘거’는 ‘이에요’가 줄어든 ‘예요’와 자연스럽게 합쳐진다.

㉢‘누구예요’도 ‘누구’가 명사이므로 ‘누구+이+에요’가 되고 받침이 없는 명사이므로 자연스럽게 ‘예요’와 결합하면서 ‘누구예요’가 된 것이다.

㉣‘어디에요’ 역시 ‘어디’가 명사이므로 ‘어디+이+에요’ 형태가 되고 ‘예요’와 자연스럽게 결합하면서 ‘어디예요’가 돼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