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서 올라온 부모님에 ‘단비’?...어려운 아파트 이름 바뀌나

이유리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yvlly@naver.com) 2024. 2. 28. 16: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최초 아파트 이름 길라잡이 마련
외국어 자제, 고유지명 활용 등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출처=연합뉴스)
아파트 이름이 점점 길고 복잡해지는 가운데 서울시는 이해하기 쉽고 편한 아파트 이름이 자리 잡도록 하는 책자를 발간했다.

분양가 자율화 이후 건설사들은 브랜드 고급화 차원에서 여러 외래어를 끌어와 아파트 이름에 붙였다. 팰리스(왕궁)·레이크(호수)·캐슬(성) 등 특정 이미지가 연상되는 영어 표현부터 고급화를 의미하는 써밋·퍼스트·베스트·노블 등까지 더해지는 추세다.

어려운 단어를 쓰며 아파트의 이름도 길어졌다. 부동산 정보 조사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990년대 평균 4.2자였던 아파트 이름 글자 수는 2000년대 6.1자에서 2019년에는 9.84자까지 늘어났다. 2000년 대 이전에는 ‘청담삼익’ ‘대치선경’ 등처럼 지역과 건설사명을 합쳐서 짓는 추세였다.

아파트 이름에 브랜드명이 붙은 최초 사례는 2003년 3월 입주한 대림산업의 용인 기흥 ‘e편한세상’ 아파트다. 현재 가장 긴 아파트 단지 이름은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빛가람 대방엘리움로얄카운티1차’ 다. 전남 나주에 있는 한 아파트 단지의 공식명칭으로 글자 수만 총 25자다. 경기 이천시에는 ‘이천증포3지구대원칸타빌2차더테라스’(18글자)도 있다.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시대별 아파트 이름 변천사와 아파트 이름 제정에 대한 공론과 과정, 아파트 이름 변경 판례 등 내용이 부록으로 담겼다. 이외에도 ▲어려운 외국어 사용 자제하기 ▲고유지명 활용하기 ▲애칭(펫네임)사용 자제하기 ▲적정 글자 수 지키기 ▲주민이 원하는 이름을 위한 제정 절차 이행하기 등 5가지 지침을 제시했다.

이번 책자 발간은 공공성과 자율성이 담긴 아파트 이름을 제정해야 한다는 전문가 업계의 공통적인 의견을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2022년 말부터 지난해 말까지 총 3차례에 걸친 학계 전문가·조합·건설사 등의 토론을 통해 개선안을 마련했고 지자체 최초로 제작·보급했다. 서울시 정비사업 정보몽땅 자료실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