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 기다렸다" 오신환…고민정과 '광진을' 승부 예고 [서울 바로미터 이곳 ⑮]

김민석 2024. 2. 21.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대 총선 이후 '민주당'만 당선된 '광진을'
최근 3차례 선거에선 '국민의힘' 강세 뚜렷
'관악을 신화' 쓴 오신환, 정권교체 앞세워
36년만에 '현역 고민정'과 '정면승부 예고'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서울 광진을 국회의원(왼쪽)과 오신환 국민의힘 서울 광진을 후보 ⓒ데일리안DB

서울 '광진을'은 이번 총선에서 가장 먼저 대진표가 완성된 곳이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지난 14일 첫 번째 단수공천을 발표하면서 광진을에 오신환 전 의원을 단수 추천했다. 이에 질세라 더불어민주당 공관위는 현역 고민정 의원을 바로 이튿날인 15일에 광진을에 단수 추천했다. 여야 모두 첫 번째 단수공천 발표에서 광진을의 후보를 확정지은 것이다.

여야 모두 광진을 지역에 나설 후보를 빠르게 결정지었지만 그 배경은 조금 달랐다. 오신환 전 의원이 공천을 받은 이유는 국민의힘에서 광진을에 뛰겠다고 나선 다른 후보가 없기 때문이다. 광진을 탈환에 나서겠다는 후보가 적은 이유는 한 가지다. 광진을은 지역구가 신설된 15대 총선 때부터 진보 성향 정당이 한 번도 내준 적 없는 민주당 텃밭이기 때문이다.

광진을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5선을 지낸 지역구다. 추 전 장관은 17대에 김형주 전 열린우리당 의원에게 한 번 자리를 내준 것을 제외하면 15·16대와 18·19·20대 국회의원을 광진을에서 지냈다.

광진을 내 강력한 민주당세는 수치로도 증명된다. 19대 총선에서 추 전 장관은 4만5980표(55.19%)를 얻어 정준길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후보(3만2456표·38.95%)를 큰 격차로 따돌렸다.

이어 20대 총선에서도 추 전 장관은 4만3980표(48.53%)를 휩쓸어 정 후보(3만3701표·37.18%)를 1만279표(11.35%p)차로 압도했다. 특히 20대 총선에서는 호남을 기반으로 황인철 국민의당 후보가 1만2938표(14.27%)를 가져갔음에도 추 전 장관은 압도적인 표차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런 민주당 지역에 오신환 후보가 출사표를 던진 이유는 최근 광진을이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다. 그 변화는 21대 총선에서부터 감지됐다. 추 전 장관의 공석으로 광진을에 전략공천 받은 고민정 당시 민주당 후보는 5만4210표(50.37%)를 득표해 당선됐으나, 당시 맞대결 상대엿던 오세훈 후보(5만1464표·47.82%)와의 격차는 2746표(2.55%p)에 불과했다.

이후 2022년 3월 열린 대선에서 광진구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재명 민주당 후보(10만9922표·47.19%)보다 3811표(1.64%p) 많은 11만3733표(48.82%)를 던졌다. 같은 해 6월 열린 지방선거에서도 오세훈 서울시장은 9만734표(58.31%)를 얻어, 송영길 전 대표(6만2217표·39.98%)를 2만8517표(18.33%p) 차로 제쳐냈다.

김경호 광진구청장 역시 7만9404표(51.20%)를 얻어 7만5657표(48.79%)를 얻은 김선갑 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12년 만에 구청장 자리를 탈환하기도 했다. 최근 3차례에 걸친 선거에서 국민의힘에게 있어 광진을이 '해볼 만한' 지형으로 인식되는 이유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오후 서울 광진구 일대 골목에서 광진구 단수공천을 받은 오신환 (왼쪽), 김병민 후보(오른쪽)의 손을 들어보이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뿐만 아니라 오신환 후보는 개인적으로도 강력한 민주당 세를 이겨낸 경험이 있다는 것 역시 도전의 근거로 꼽힌다. 오 후보는 지난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서울 관악을 지역에 출마해 처음으로 국회의원 뱃지를 단 적이 있다. 보수당이 관악을을 차지한 건 오 후보가 처음으로 이뤄낸 결과였다.

그 전까지 관악을은 통합진보당 소속이었던 이상규 전 의원이 당선될 정도로 진보세가 강한 지역이었다. 오 후보는 관악을 지역에서 20대 총선에서까지 당선되며 재선에 성공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친오세훈계인 오 후보가 지난 총선에서의 오 시장의 패배를 설욕하겠다는 자신감을 비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특히 오 후보는 현재 서울과 광진구의 행정을 맡고 있는 오 시장, 김 광진구청장과 소통할 수 있는 점을 강점으로 앞세우고 있다. 오 전 의원은 출마선언에서도 "새로운 광진을 위한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대통령·서울시장·광진구청장에 이어 국회의원까지 바꿔서 모처럼 맞이한 광진 발전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달라"는 뜻을 피력하기도 했다.

또 오 후보는 "서울시 정무부시장 시절 구의자양 재정비사업에 관심을 갖고 주민들과 소통한 결과, 자양4동이 신통기획 사업대상지로 선정되고 동서울터미널 현대화 사업을 정상화하는 성과를 내며 광진과 인연을 맺게 됐다"며 "다가오는 광진을 국회의원 선거는 진짜 일꾼과 일꾼 호소인의 한판 대결이다. 36년 민주당 일당독재를 끊어내고 새로운 광진의 미래를 열어내겠다"고 자신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정 의원의 현역 파워도 여전하다. 앞서 광진을에 공천을 신청했던 김상진 예비후보가 공관위의 단수공천에 반발해 단식농성을 벌이면서 재심까지 신청했지만 재심위가 이를 기각하면서 고 의원의 입지는 더 공고해진 모습이다. 또 고 의원은 최고위원으로 지도부에 입성해 목소리를 내고 있는 만큼, 정권심판론 바람을 광진을로 가져올 방침이다.

정치권에선 각 후보가 어떤 전략을 갖고 나오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가 천차만별로 바뀔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역 사정에 밝은 정치권 한 인사는 "광진을은 사실 '묻지마 민주당' 세가 강한 곳인데다 현역 고민정 의원의 프리미엄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최근 선거에서 구도가 깨졌고 주민들의 구조도 바뀐 만큼 오신환 후보가 개인적인 매력을 앞세워 인물 간 대결 구도를 만들어 바람을 일으킨다면 뜻밖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