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상도동·양재2동 등 모아타운 대상지 5곳 선정

한진주 2024. 2. 19.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차 대상지 선정위원회, 8곳 중 5곳 선정
보문동6가 선정제외, 하월곡·수유동 보류
신당동 122-3은 타 사업 추진으로 제외

서울시가 올해 2차 모아타운 지정을 신청한 8곳 중 5곳을 대상지로 선정했다. 사업에 대한 이견으로 주민 간 갈등이 있거나 다른 사업 방식이 적합한 사업지는 선정 대상에서 빠졌다.

동작구 상도동 모아타운 사업 대상지(자료=서울시)

서울시는 2차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위원회를 열어 동작구 상도동, 중랑구 중화2동·면목2동, 서초구 양재2동 2곳 등 5곳을 대상지로 선정했다고19일 밝혔다. 주민 갈등과 사업현실성, 지역여건 등을 고려해 성북구 보문동6가는 선정하지 않았고 성북구 하월곡동과 강북구 수유동은 보류 결정을 내렸다.

올해 2차로 5곳 선정 …노후도·반지하 비율 높아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된 사업지는 노후 다세대·다가구 주택과 반지하 주택들이 모여있어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곳들이다.

동작구 상도동 279 일대(4만9155㎡)는 노후한 저층 주거지로 국사봉이 인접한 구릉지형으로 대규모 정비가 어렵고, 다세대주택이 다수 분포해 재개발 요건에 맞지 않아 정비가 이뤄지지 않았다. 모아타운 추진에 동의하는 주민이 약 60%로 높다는 점을 고려 대상지로 선정됐다.

중랑구 중화2동 모아타운 대상지(자료=서울시)

중랑구 중화2동 299-8 일대(7만5254㎡)는 중화재정비촉진지구 해제지역으로 건축물 노후도는 86%, 반지하주택 비율도 75% 이상으로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사업추진에 대한 주민동의율(34~67%)이 높다. 시는 사업추진계획을 고려해 구역계에 대한 정합성을 검토해 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조건을 부여했다.

면목2동 139-52 일대(7만868㎡)는 도시재생활성화구역 내에 위치해있고 노후도가 약 79%, 반지하주택 비율도 66%에 이른다. 도로가 협소하고 상습적인 주차난 등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사업 추진 주민동의율이 약 50%로 높다는 점을 고려해 대상지로 선정했다. 향후 관리계획 수립 때 패션(봉제) 특정개발진흥지구 계획과 연계한 공공기여, 봉제산업 종사자 이주대책 등을 반영하도록 조건을 부여했다.

서초구 양재2동 모아타운 대상지(자료=서울시)

서초구 양재2동 374 (6만1289㎡)와 382 일대(6만8804㎡)는 지난해 2차 대상지 선정위원회에서 조건부 보류되었던 사업지다. 보류사유가 해소됐고 모아타운 일대의 도로체계 재정비, 기반시설이 개선되는 점과 주민동의율이 60~70%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해 대상지로 선정했다. 향후 논현로와 연결되는 진입도로 폭을 넓히는 것을 전제로 조건을 부여했다.

시는 선정된 5곳에 모아타운 관리계획 수립 용역비를 자치구에 교부한다. 관리계획 수립이 완료되면 모아타운으로 지정해 개별 모아주택 사업(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이 시행된다. 지분쪼개기 등 투기수요 차단을 위해 공모를 신청한 대상지 6곳에 대해 22일을 권리산정 기준일로 고시한다. 서초구 양재2동 일원은 지난해 8월2일로 권리산정기준일이 이미 지정됐다.

주민 반대·구역 적정성 고려 1곳 미선정, 2곳 보류

성북구 보문동6가 400 일대는 모아타운 구역 내 주민 반대 의견이 30% 내외로 모아타운 추진 필요성과 진입도로 확보 등 구역계 적정성 등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선정 지역에서 제외했다.

성북구 하월곡동 40-107 일대는 과거 주택재개발을 추진했던 곳이다. 건축물 노후도가 약 71%로 낙후되고 반지하 비율도 56% 높아 정비가 필요하지만 초역세권임을 고려해 역세권 활성화 등 타 사업 방식으로 재검토하기 위해 보류했다.

강북구 수유동 392-9 일대는 건축물 노후도와 반지하 비율이 높은 매우 열악하지만 도로현황과 주변지형과 높이 차이 등을 고려해 통합 정비가 필요하므로 재개발 가능 여부를 재검토하기 위해 보류했다.

기존 모아타운 지정됐던 도림·신당동 2곳 제외

시는 모아타운 외 다른 사업으로 전환하려는 사업지 두 곳은 기존 모아타운 대상지에서 제외했다. 2022년 하반기 모아타운으로 선정된 영등포구 도림동 247-48 일대(9만2057㎡)은 지역 주민들이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등 타 사업 추진을 희망한다는 자치구 의견을 반영해 대상지에서 제외했다.

중구 신당동 122-3 일대(6만3085㎡)는 인근 지역 3개소가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되어 관리계획을 수립중이었으나 1개소 주민들이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등 타사업 추진을 희망해 대상지에서 제외했다.

시는 기존 대상지 중 모아주택·모아타운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자치구 의견 수렴과 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대상지에서 제외할 계획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올해는 모아주택·모아타운 사업이 시작된 지 3년째로 사업추진에 대한 내실화가 중요한 시점"이라며 "주민들이 원하고 사업 실현성이 높은 지역에 대해선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나, 사업추진 반대 등 주민갈등이 있거나 부동산 이상거래 동향이 발견되는 곳에 대해선 모아타운으로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