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 첫방부터 터진 '밤피꽃', ‘연인’ 뛰어넘은 흥행 비결은? ③

유지희 2024. 2. 15. 05: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제공=MBC 
MBC 금토드라마 ‘밤에 피는 꽃’(이하 ‘밤피꽃’)이 종영까지 단 2회만을 남기며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지난 2일 방영된 7회가 자체 최고 13.1%를 기록하며 지난해와 올해 방영된 MBC 드라마들 가운데 최고 흥행작으로 등극했다. 흥행 요인으로 ‘종합선물 세트’ 같은 복합 장르의 이점과 사극에서 한계가 있다고 여겨졌던 여성 캐릭터를 한 단계 발전시켜 카타르시스를 끌어낸 점이 꼽힌다.

‘밤피꽃’은 첫방송부터 터졌다. 지난달 12일 7.9%로 출발해 시청률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SBS ‘재벌X형사’, JTBC ‘닥터슬럼프’, tvN ‘세작, 매혹된 자들’ 등 경쟁작들도 단숨에 따돌렸다. 일찍이 시청자층을 확보한 KBS2 ‘고려거란전쟁’은 9~10%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후반부로 갈수록 역사왜곡 논란, 개연성 없는 전개 등을 이유로 지적을 받고 있는 터다. 이에 반해 ‘밤피꽃’은 최근 방송가에서 시청률 두 자릿수를 기록하는 것도 쉽지 않은 데다가, 호평을 받으며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유의미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MBC 


◇사극에 코믹‧액션‧로맨스‧수사물…복합장르 묘미 살려

‘밤피꽃’은 장태유 감독 등 믿고 보는 제작진으로 방영 전부터 기대감을 높였다. 장태유 감독은 드라마 ‘쩐의 전쟁’, ‘바람의 화원’, ‘뿌리 깊은 나무’, ‘별에서 온 그대’ 등 많은 히트작을 탄생시킨 스타 PD다. ‘밤피꽃’은 첫 방송부터 이하늬의 맛깔나는 연기는 물론, 장태유 감독의 감각적이고 섬세한 연출로 시선을 사로잡으며 시청률과 화제성을 단숨에 거머쥐었다.  

사진제공=MBC 


‘밤피꽃’에는 코믹을 필두로 액션 뿐 아니라 여화와 금위영 종사관인 박수호(이종원)의 로맨스, 선대 임금의 사망 배경을 찾는 미스터리 등 다양한 장르가 복합적으로 담겼다. 밤이 되면 담을 넘는 15년 차 수절과부 여화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종적을 감춘 여화 오빠에 대한 진실, 수호의 가족이 몰상당한 이유 등 다양한 이야기도 펼쳐진다. 다수의 장르와 서사들이 얽혀 있는 터라, 이들 사이의 균형감이 무엇보다 중요했던 터다. ‘밤피꽃’은 자칫 산만할 수 있는 지점들을 적절하게 조절하며, 시청자들의 몰입감을 높였다. 

공희정 드라마 평론가는 “최근 가벼운 분위기의 드라마들이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코믹한 ‘밤피꽃’도 이 같은 흐름을 잘 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밤피꽃’은 지루할 틈 없이 여러 장르와 이야기가 쏟아지는데, 이들 모두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재미를 높인다. 드라마에 담긴 다양한 요소들을 제작진이 섬세하게 배치하고 조절했다”고 평가했다.

사진제공=MBC 


◇‘과부의 이중 생활’ 설정, 카타르시스 높였다  

‘밤피꽃’은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가상 역사극이다. 여화는 첫날 밤도 치르기 전 남편이 죽어 수절을 지켜야 하는 과부지만 밤마다 복면을 쓰고 한양 곳곳을 누비며 악인을 응징한다. 악인을 물리치고 불쌍한 사람을 돕는다는 서민영웅 설정은 식상하지만, 이를 사극 속 여성 캐릭터가 연기하면서 신선함을 높였다. 기존 사극들은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여성 캐릭터에 한계가 있다는 평을 받은 반면, ‘밤피꽃’은 ‘과부의 이중생활’이라는 콘셉트 하에서 극과 극의 반전에서 오는 카타르시스가 상당하다.

여기에 ‘밤피꽃’은 사극 속에서 사회적으로 제약을 받는 여성, 특히 과부가 능동적으로 삶을 개척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동시대성까지 확보했다는 평을 받는다.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도와주던 여화가 자신 또한 피해자라는 것을 알아가고, 그 과정에서도 주체성을 잃지 않는 모습은 지금 시대의 요구상과 맞아 떨어진다는 평가다. 하재근 대중문화 평론가는 “사극 속 여성 캐릭터들이 점차 변하고 있지만 ‘밤피꽃’은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 더 능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며 “‘밤피꽃’이 그려가는 여화 캐릭터는 지금의 시청자들이 열광할 포인트”라고 짚었다.  

‘밤피꽃’은 12부작으로 오는 16일 11회, 17일 마지막회가 방영된다. 

유지희 기자 yjhh@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