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보다 더러운 걸 베고 잔다? 매일 닦지 않으면 식중독까지…

오상훈 기자 2024. 2. 7.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휴대전화, 이어폰, 키보드, 베개 등 매일 사용하는 용품에는 세균이 많다.

이어폰을 많이 사용한 사람의 귓속 세균이 이어폰을 가끔 사용한 사람보다 약 수천 배 많았다는 인도 연구도 있다.

◇키보드와 마우스사무직 직장인들이 매일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도 세균이 가득하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검출된 일반 세균수는 변기 시트의 약 1.8배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휴대전화, 이어폰, 키보드, 베개 등 매일 사용하는 용품에는 세균이 많다. 별다른 세척을 하지 않는다면 노인 등 면역저하자의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상 용품들에 세균이 얼마나 많은지 소개한다.

◇스마트폰
온종일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은 세균의 온상이다. 미국 애리조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있는 세균 수는 변기보다 10배 많았다. 스마트폰의 17%에서 분변이 검출됐다는 영국의 연구 결과도 있다. 특히 손이 자주 닿은 스마트폰 액정에는 대장균·황색포도상구균 등이 서식하기 쉽다. 액정이 피부에 닿으면 여드름, 모낭염 등 트러블이 생길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량을 줄이는 건 어려우므로 최대한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항균 티슈나 소독용 알코올을 묻힌 솜으로 스마트폰을 매일 여러 번 닦아낸다. 이때 70% 알코올을 사용하는 게 좋다. 100% 알코올을 사용하면 액정이 손상될 수 있고 휘발 속도가 빨라 살균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이어폰
이어폰을 오래 사용하면 귀에 세균이 자라기 쉽다. 이어폰의 약 90%에서 포도상구균 등의 유해균들이 검출됐다는 한국의과학연구원 연구 결과도 있다. 이어폰을 많이 사용한 사람의 귓속 세균이 이어폰을 가끔 사용한 사람보다 약 수천 배 많았다는 인도 연구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귀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는 커널형 이어폰은 외이도염이나 중이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어폰 역시 정기적으로 소독해주는 게 좋다. 세척법은 스마트폰과 비슷한데 이어캡을 분리해 꼼꼼히 닦는 게 중요하다.

◇키보드와 마우스
사무직 직장인들이 매일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도 세균이 가득하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검출된 일반 세균수는 변기 시트의 약 1.8배였다. 135도 이상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해도 사라지지 않는 독소를 만들어내는 바실러스 세레우스도 발견됐다.

키보드의 틈새에는 먼지나 각질이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땐 키보드 커버를 씌우는 게 좋다. 또 마우스는 사용 전후에 항균 티슈로 닦아준다. 소독용 알코올을 분무기에 담아서 뿌리는 것도 방법이다.

◇베개
매일 베고 자는 베개 역시 자주 세탁하지 않으면 세균이 들끓기 쉽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천종식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베개에서 변기보다 96배 많은 세균이 검출됐다. 곰팡이, 진드기도 함께 발견됐는데 이러한 오염물질은 천식, 비염 등 호흡기 질환까지 일으킬 수 있다.

베갯잇은 우리가 자는 도중 흘린 침, 땀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된다.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어두운 상태에서 축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알맞다. 따라서 베갯잇을 일주일에 한 번씩 교체하고, 틈틈이 햇볕에 말릴 필요가 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