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서민 허리 휘청…실효성 높은 ‘핀셋’ 대책 필요

표윤지 2024. 2. 6. 14: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 전년比 8%↑
전기·가스·수도는 5.0% 상승
삼겹살 2만원 시대…외식물가도 껑충
경제전문가 “고물가 지원책 적극 마련해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월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122.71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보다 8.0% 뛰었다. 설 명절을 앞두고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 서민들의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연합

“아기 이유식에 들어갈 채소 몇 가지랑 소고기 등을 담으면 벌써 5만원이에요. 딸기 한 팩은 2만원이고, 우유 등을 조금만 더 담으면 10만원이 훌쩍 넘어요.”

세종특별자치시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직장인 강 아무개(37·여) 씨는 부쩍 오른 장바구니 물가에 대한 고충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어른들 음식 구매 가격은 최대한 저렴한 식재료로 바꾸고 줄여도 아이들 식재료 비용은 못 줄이겠다”고 말했다.

조치원 전통시장에서 차례상 장을 본 주부 김 아무개(63·여) 씨는 “지난해 추석 때를 생각하며 현금 40만원을 들고 시장에 왔는데 이것 가지고는 우리 식구들 먹는데 어림도 없다”며 “홍어, 고기, 채소, 떡국, 달걀 등 이렇게 사니까 40만원이 이미 넘었다”고 했다.

특히 “과일은 너무 비싸 차례상에 올려야 하는데 엄두가 안 난다”며 “사과가 다른 과일에 비해 지난해 추석보다 더 많이 오른 것 같아 개수를 줄였다.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올랐다”고 덧붙였다.

과일 물가 상승률 28.1%…사과 56.8% 교통(-0.3%) 제외한 대다수 품목 상승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월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122.71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보다 8.0% 뛰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8%) 대비 3배 가까이 올랐다.

과일 물가 상승률은 28.1%로 전체 평균을 10배 웃돌았다. 특히 사과는 56.8% 증가해 차례상 장바구니 물가에 부담을 더하고 있다. 다음은 복숭아 48.1%, 배 41.2%, 귤 39.8%, 감 39.7%, 밤 7.3% 순이다.

장보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사과, 배, 감 등이 지난해 생산이 많이 줄었는데 (특히) 사과가 30%나 줄어들었다”며 “과일 같은 경우 지난해 초부터 서리, 탄저병, 우박, 낙과 등으로 생산 자체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과일뿐만 아니라 교통(-0.3%)을 제외한 모든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모두 올랐다.

식료품·비주류음료(5.9%), 음식·숙박(4.1%), 주택·수도·전기·연료(1.8%), 의류·신발(5.8%), 기타 상품·서비스(4.8%), 보건(1.8%), 가정용품·가사서비스(3.1%), 교육(1.7%), 오락·문화(1.2%), 주류·담배(1.5%), 통신(0.3%) 등이 상승했다.

전기·가스·수도 소비자물가지수도 136.09로, 전년 동월보다 5.0% 뛰었다. 이는 농축수산물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이다. 구체적으로 전기료(4.3%), 도시가스(5.6%), 지역난방비(12.1%) 등이 올랐다.

치킨값에 이에 삼겹살도 2만원인 시대가 열렸다. 외식 메뉴 가격마저 줄줄이 인상하면서 서민들의 지갑이 가벼워지고 있다. ⓒ연합

삼겹살 가격, 지난해 12월 1만9400원대 자영업자 “전기료, 인건비 모두 올라”

외식 물가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대표 외식 메뉴인 삼겹살은 1인분(200g)에 2만원 가까이 한다.

지난달 30일 한국소비자원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기준 삼겹살 1인분 가격은 1만9429원을 기록했다. 전년동월대비 5.4% 오르면서 외식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외식비 상승은 식당 입장에서도 부담스럽다. 세종시 도담동에서 삼겹살 식당을 운영하는 박 아무개(43) 씨는 “고깃값뿐만 아니라 반찬 가격도 많이 오르고 전기료, 인건비 등을 제외하고 나면 손에 쥐는 돈은 얼마 없다”며 “임대료까지 높아 장사하기 더욱 어려운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밥상물가’ 상승에 경제 전문가들은 실효성 있는 민생 지원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조언한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후변화 위기로 농산물 가격의 불안정은 지속될 것 같다”며 “국민이 전통적으로 먹는 과일이 있는데 사과, 배 등의 가격이 오르니까 할당관세 인하해 수입한 파인애플을 먹으라고 하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전기·가스·수도 요금과 관련해선 “탄소 중립 시대로 가는 과정에서 전력망 확충을 해야 하는데, 국가가 현재 돈이 없으니까 민간투자 개방으로 하겠다고 한다”며 “나중에 전기, 가스요금 등이 다 뭉쳐서 (국민에게) 돌아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 교수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고통받는 계층을 위한 가처분소득 증대 정책 등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민생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2024년 1월 소비자물가지수 지출목적별 등락률. ⓒ통계청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