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승까지 한일전은 없다…한국 16강 상대는 사우디, 아시안컵 토너먼트 대진 확정

김명석 2024. 1. 26. 06: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3 AFC 아시안컵 16강에서 격돌을 펼치게 된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 사진=힐랄스터
지난해 9월 영국에서 열렸던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평가전 당시 모습. 사진=대한축구협회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16강 상대가 사우디아라비아로 확정됐다. 당초 16강 맞대결 가능성이 컸던 한일전은 결승전에서나 이뤄질 수 있게 됐다.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16강전은 오는 31일 오전 1시(한국시간) 카타르 알라이얀의 에듀케이션시티 스타디움에서 펼쳐진다.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16강 맞대결은 한국이 조별리그 E조를 2위로, 사우디아라비아는 F조 1위로 각각 통과하면서 성사됐다. 앞서 위르겐 클린스만(독일)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지난 25일 카타르 알와크라의 알 자누브 스타디움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의 대회 조별리그 E조 최종전에서 난타전 끝에 3-3으로 비겼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은 한국이 23위, 말레이시아는 130위다.

이날 무승부로 한국은 승점 5(1승 2무)를 기록, 같은 시각 요르단을 꺾고 선두에 오른 바레인(2승 1패·승점 6)에 이어 조별리그를 2위로 마쳤다. 요르단은 승점 4(1승 1무 1패)로 3위. 만약 한국이 말레이시아를 이겼다면 조 1위에 오를 수 있었으나 말레이시아전 무승부로 조 1위 등극은 무산됐다.

이어 열린 조별리그 F조 최종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태국과 무승부를 거두면서 승점 7(2승 1무)을 기록,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대회 대진표에 따라 E조 2위 한국과 F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의 16강 맞대결도 동시에 확정됐다. 16강에서 성사될 가능성이 높았던 한일전은 일본에 이어 한국도 조 2위에 머무르면서 무산됐다.

한국이 8강 진출을 놓고 다툴 상대인 사우디아라비아는 FIFA 랭킹 56위 팀이다. 한국보다는 33계단이 낮다. 이번 대회에선 오만을 2-1로, 키르기스스탄을 2-0으로 잇따라 완파하고 16강 진출을 조기에 확정했고, 최종전에서 태국과 비기면서 조 1위에 올랐다. 앞선 조별리그 3경기에선 평균 69.8%에 달하는 볼 점유율을 기록했고, 슈팅수도 평균 19개를 기록했다. 다만 오만전 12-4, 키르기스스탄전 28-1, 태국전 17-4 등 압도적인 슈팅에도 4골에 그친 기록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세계적인 명장인 로베르토 만치니(이탈리아) 감독이 이끌고 있고, 선수단 전원이 사우디아라비아리그 선수들이다.

지난해 9월 영국에서 열렸던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평가전 당시 모습. 사진=대한축구협회
지난해 9월 영국에서 열렸던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평가전 당시 모습. 사진=대한축구협회

역대 전적에서는 5승 8무 5패로 팽팽하다. 클린스만 감독 부임 이후 지난해 9월 영국 뉴캐슬에서 열린 친선경기 땐 조규성(미트윌란)의 선제 결승골을 앞세워 한국이 1-0으로 승리한 바 있다. 클린스만 감독 부임 후 5경기 연속 이어지던 무승 흐름을 6경기 만에 끊어낸 경기이기도 했다. 한국의 사우디아라비아전 마지막 패배는 지난 2005년 서울에서 열렸던 2006 FIFA 독일 월드컵 최종예선 0-1 패배로, 이후 5경기 연속 무패(2승 3무)를 기록 중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한때 아시안컵의 강호였으나 최근 성적은 하락세가 뚜렷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1984년 처음 대회에 참가한 뒤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는 등 5회 연속 결승에 올라 우승 3회·준우승 2회를 기록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주춤하고 있다. 2007년 대회 준우승이 유일한 성과일 뿐 2004년과 2011년, 2015년 대회 땐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지난 2019년 대회 역시도 16강에서 조기 탈락한 바 있다.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가 열리게 될 에듀케이션시티 스타디움은 한국 대표팀 입장에선 익숙하면서도 반가운 경기장이기도 하다. 파울루 벤투(포르투갈) 감독이 이끌던 지난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당시 조별리그 3경기를 모두 치렀던 경기장이자 극적으로 16강 진출에 성공했던 무대이기 때문이다. 이번 대회에선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치르는 게 처음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0-0으로 비겼던 태국전에 이어 2경기 연속 같은 장소에서 경기를 치른다.

2023 AFC 아시안컵 16강 토너먼트 대진표. 사진=카타르 아시안컵

이날 F조를 끝으로 조별리그 여정이 모두 막을 내리면서 2023 AFC 아시안컵 16강 토너먼트 대진과 일정 모두 확정됐다. 대진은 ▲호주(B조 1위)-인도네시아(D조 3위) ▲타지키스탄(A조 2위)-아랍에미리트(UAE·C조 2위) ▲이라크(D조 1위)-요르단(E조 3위) ▲카타르(A조 1위)-팔레스타인(C조 3위) ▲우즈베키스탄(B조 2위)-태국(F조 2위) ▲대한민국(E조 2위)-사우디아라비아(F조 1위) ▲바레인(E조 1위)-일본(D조 2위) ▲이란(C조 1위)-시리아(B조 3위)전 순으로 열린다. 오는 28일 오후 8시 30분 호주와 인도네시아가 토너먼트 서막을 올리고, 내달 1일 오전 1시 열리는 이란과 시리아전을 통해 16강전도 마무리된다.

만약 한국이 사우디아라비아를 이기면 내달 3일 오전 0시 30분 호주와 인도네시아전 승리팀과 8강에서 격돌한다. 전장은 카타르 알 와크라의 알자누브 스타디움이다. D조 3위로 인도네시아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토너먼트 진출을 이끈 신태용 감독과 8강 맞대결이 펼쳐질 수도 있다. 호주와 격돌하는 지난 2015년 대회 결승 이후 9년 만에 아시안컵 무대에서 재대결을 펼치게 된다.

호주-인도네시아전 승리팀까지 이겨 4강에 오르면 한국은 타지키스탄과 UAE, 이라크, 요르단 중 한 팀과 내달 6일 자정 카타르 알라이얀의 아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격돌한다. 대망의 결승전은 내달 10일 자정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펼쳐진다.

16강 맞대결 가능성으로 관심을 모았던 한일전의 경우 결승전에서나 성사될 수 있게 됐다. 일본은 한일전 대신 바레인과 16강 진출을 겨룬 뒤 이란-시리아전 승리팀과 8강에서 격돌한다. 4강에선 팔레스타인, 카타르, 우즈베키스탄, 태국 중 한 팀과 겨룬다. 8강에서 이란, 4강에서 개최국 카타르를 차례로 만날 가능성도 있다.

김명석 기자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