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큰 중학개미, 레버리지 우르르 몰렸다 ‘곡소리’

배준희 매경이코노미 기자(bjh0413@mk.co.kr) 2024. 1. 20. 1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콩 증권거래소 앞. [EPA = 연합뉴스]
올 들어 중국(홍콩) 증시 급락세가 지속되자 향후 반등을 노리고 저가 매수에 나섰던 중학개미들의 속이 타들어 가고 있다. 상당수 개인 투자자는 상승 시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레버리지 투자를 선택했는데, 증시가 예상과 정반대로 움직이자 손실률이 커지고 있다.

1월 18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최근 한 달 미국 증시에서 ‘디렉시온 데일리 FTSE 차이나 불 3배(YINN)’ 상장지수펀드(ETF)를 2945만달러(약 396억원)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YINN ETF는 FTSE 차이나 50 인덱스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한다.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 종목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50개 종목을 편입한다.

이 기간 국내 투자자들은 ‘디렉시온 데일리 차이나 인터넷 불 2배(CWEB)’ ETF도 788만달러(약 106억원)에 순매수했다. CWEB ETF는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인터넷·플랫폼 기업들을 편입한 기초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2배로 좇는다.

대표적인 두 중국 레버리지 ETF의 순매수액 합계는 최근 한 달 동안 미국 증시에 투자한 국내 투자자 순매수액 6위에 해당한다. 홍콩 항셍지수가 2022년 15%, 2023년 14% 하락하자 반등을 기대하고 공격적인 레버리지 투자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시장은 이들의 예상과 정반대로 흘러갔다. 홍콩 항셍지수는 올 들어서만 10% 급락했다. 현재 항셍지수는 1만5000선을 오르내린다. 이 탓에 올 들어 1월 18일까지 YINN과 CWEB ETF 주가는 각각 29%, 22% 하락했다.

국내 증시에서도 중국 레버리지 상품으로 개인 투자자가 몰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월 18일 기준 최근 한 달간 개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TIGER 차이나CSI300레버리지(합성)’와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 H)’ ETF를 각각 120억원, 99억원어치 사들였다.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 H) ETF는 올 들어 1월 18일까지 30%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단기간 중국 경제의 회복을 낙관하기 힘든 만큼 레버리지 상품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하는 데 그쳐 시장 컨센서스(추정치)인 5.3%를 밑돌았다. 미국과의 G2 갈등, 대만 침공 가능성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도 외국인 투자자 유출을 부추긴다.

이동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오는 3월 열리는 양회에서 중국 정부는 5% 성장 목표를 제시할 전망이지만, 현재까지 공표된 중앙정부 채권 발행 승인, 부동산 정책으로는 달성이 쉽지 않아 보인다”며 “중국 경제의 약한 고리인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책 발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