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말아요, 아파트 인분사태”… 스마트화장실 눈에띄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2024. 1. 16. 11: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장실이 채 꾸려지지 않아 건설 근로자의 '생리현상'에 속수무책이었던 신축 아파트의 이른바 '인분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나왔다.

비알테크놀로지 관계자는 "고층건물 건설현장 근로자들에게 현실적으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화장실 부족 문제"라며 "스마트화장실은 건물 높이와 상관없이 어디에든 설치할 수 있어 현장에서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친환경기업 ‘비알테크놀로지’ 개발
이동 편리, 초절전·절수 기술 적용
“현장 생리현상 해결은 인권 문제”

화장실이 채 꾸려지지 않아 건설 근로자의 ‘생리현상’에 속수무책이었던 신축 아파트의 이른바 ‘인분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나왔다. 한 중소기업이 특히 고층 건물의 인분사태를 풀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안했다.

부산에 본사를 둔 친환경 기업인 비알테크놀로지는 고층이든 저층이든 건물 신축 현장 어느 곳에도 설치가 가능한 ‘비알 스마트화장실’을 개발해 전국 현장에 보급하고 있다고 16일 알렸다.

이 스마트화장실은 아파트와 빌딩 등 고층건물 어디든 쉽고 빠르게 설치하고 철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내세운다.

회사 측은 수세식 화장실을 이동이 가능한 일체형으로 만들어 공사 현장에 설치된 엘리베이트나 타워크레인으로 옮겨 놓으면 된다고 소개했다. 전기와 수도 연결이 필요없는 절수형 에너지 절약 시스템을 적용해 주거기반 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곳에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분뇨 처리도 밸브 배관을 통해 이동형 저장통에 옮겨 처리가 가능하고 관리와 청소도 간단해 공사 기간 내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평택시 한 건설 현장에서 비알 스마트화장실이 설치되고 있다.

또 스마트화장실은 ‘거품형 포세식’ 화장실과 달리 환경과 위생을 모두 만족시키는 시스템으로 제작됐다. 저장물이 보이지 않고 역류방지 기능까지 적용돼 악취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파손과 잔고장도 거의 없어 관리자나 사용자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알테크놀로지 관계자는 “고층건물 건설현장 근로자들에게 현실적으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화장실 부족 문제”라며 “스마트화장실은 건물 높이와 상관없이 어디에든 설치할 수 있어 현장에서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전국건설노동조합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화장실 수가 절대 부족하다. 현장당 평균 172명의 노동자가 투입되는 데 반해 화장실 개수는 평균 2.5개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고층건물 건축현장 근로자들은 지상에 설치된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 평균 30분 이상 시간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일부 근로자들이 지상에 내려오는 대신 일하던 곳에서 대소변을 처리하는 바람에 인분사태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회사 측은 “가격 경쟁력도 갖춰 국내 공사 현장에서 주문과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스마트화장실은 경기도 평택 삼성 엔지니어링 현장과 경기도 용인SK에코플랜트 용인 용수1공구 현장을 시작으로 전국 건설 근로자의 생리현상을 처리하러 나서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한국가스공사, 평택도시공사, 강원도 삼척시 삼표시멘트 현장, 부산 영도구 복합혁신센터 신축 현장, 파주-양주 고속도로 공사 현장, 경남 고성군 화력발전소 현장, 충북 제천 한국철도공사 현장 등 전국을 동분서주하며 설치되고 있다.

비알테크놀로지 관계자는 “현장 근로자의 생리현상은 기본적인 인권 문제로 연결된다”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품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