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 튀어나온 아랫배, 자세만 ‘이렇게’ 바로잡아도 뱃살 감춰진다

이해림 기자 2024. 1. 15. 2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랫배가 유난히 불룩 튀어나온 사람들이 있다.

뜻밖에도 뱃살이 아닌 '자세'가 문제일 수 있다.

골반이 앞으로 회전하며 틀어진 '골반전방경사'가 있는 사람들은 아랫배가 심하게 나와 보일 수 있다.

앉아있는 시간이 긴 사람, 평소 하이힐을 자주 신는 사람에게 잘 나타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골반이 앞쪽으로 회전하는 골반전방경사가 있는 사람들은 허리가 과도하게 꺾이며 뱃살이 나와 보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랫배가 유난히 불룩 튀어나온 사람들이 있다. 뜻밖에도 뱃살이 아닌 ‘자세’가 문제일 수 있다. 골반이 앞으로 회전하며 틀어진 ‘골반전방경사’가 있는 사람들은 아랫배가 심하게 나와 보일 수 있다. 자칫 뱃살이 과도한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골반전방경사는 골반이 지나치게 앞으로 기운 상태다. 앉아있는 시간이 긴 사람, 평소 하이힐을 자주 신는 사람에게 잘 나타난다. 몸이 골반이 틀어진 채로 균형을 잡으려다 보니 허리에 통증이 생기고, 등은 굽게 된다.

본인이 골반전방경사인지 확인하려면 우선 뒤통수와 발뒤꿈치를 벽에 붙이고 선다. 허리를 펴려고 애쓰지 말고, 평소처럼 자연스럽게 서야 한다. 허리와 벽 사이의 틈에 손을 넣었을 때, 손이 두 개 이상 들어갈 정도로 공간이 넉넉하다면 골반전방경사가 의심된다. 허리 곡선이 정상적인 사람들은 손이 하나 정도 들어간다.

사진=헬스조선DB
골반전방경사를 완화하려면 골반 근육을 강화해야 한다. 복근과 대둔근이 약한 사람은 골반전방경사가, 장요근과 척추기립근이 약한 사람은 골반후방경사가 생기기 쉽다. 대둔근은 엉덩이에서 가장 큰 근육이고, 장요근은 허리에서 골반을 거쳐 엉덩이까지 이어져 있으며 고관절을 구부리는 데 쓰인다. 복근과 대둔근 단련엔 엎드린 채 다리를 위로 구부리는 ‘레그컬’, 서서 배 전체에 힘을 주는 ‘드로우인’ 운동이 좋다. 엎드린 자세에서 두 손과 두 발을 쭉 뻗어 공중으로 들어 올리는 ‘슈퍼맨 운동’은 장요근과 척추기립근 단련에 이롭다.

골반 강화 운동 못지않게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야 골반 틀어짐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다. 한쪽 다리에만 힘을 주고 서거나, 무거운 가방을 한쪽 어깨에만 매고 다니거나, 한쪽 바지 뒷주머니에만 무거운 물건을 넣고 다니면 골반이 잘 틀어진다. 양반다리를 하거나 다리를 꼬는 습관도 고쳐야 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